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서울 강남구 - 일상비일상의틈 일상비일상의틈 - 홈페이지 : http://www.instagram.com/daily_teum 일상비일상의틈은 2020년 9월에 문을 오픈 했으며, LG유플러스가 만든 MZ세대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제품을 진열한 통신사 매장이 아니라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는 공간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7층까지의 공간은 층마다 다른 콘셉트를 선보인다. 층과 지하 1층에서 MZ세대 취향을 저격하는 전시와 브랜드 팝업 행사가 주기적으로 열리고 있으며, 2층은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한 팝업이 진행된다. 3층은 독립출판물을 소개하는 책방이다. 4층은 아날로그 기록과 현상을 도와주는 필름 스튜디오가 있으며, 5층은 LG유플러스의 5G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7층은 루프톱이 위치해 있다,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2022. 12. 9.
서울 관악구 - 정정공강사상묘역 정정공강사상묘역 - 홈페이지 : http://www.gwanak.go.kr/ http://www.cha.go.kr 조선 숙종 39년(1713년)에 세워진 정정공 강사상(1519∼1581)의 신도비이다. 선생은 1543년(중종38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46년(명종1년) 식년문과에 병과 급제하여 한림이 되어 수많은 관직을 거쳤다. 그후 우의정과 영중추부사를 지냈으며, 사후 아들인이 호성공신에 책록되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선생은 강홍립 장군(1570 ∼1627)의 조부로서 1561년에 명나라 성절사, 1568년 사신원접사, 1570년 명나라 주청사로 활동하는 등 외교에 역할이 컸으며, 평상시 국가의 치란은 천운에 있지 인력으로는 되는 것이 아니라하여 당파에 초연하였다. 신도비문은 권유가 짓고 본문은 이.. 2022. 12. 9.
서울 중구 -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 홈페이지 : http://mfis.mpva.go.kr/main/main.do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한국 유림은 파리에서 열린 세계평화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서한을 제출해 독립의지를 세계만방에 떨친 공헌을 한 바, 이를 기념하기 위해 대통령희사금과 국민의 성금 등으로 1972년 10월 서울 중구 장충단공원에 비를 건립하였다.파리 장서(長書)는 일제의 한국 주권 찬탈 과정을 폭로하고 식민 지배의 불법성과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주장하여 한국의 모든 계층과 사회 집단이 독립을 열망하고 있음을 국내외에 널리 알렸던 서한이다.곽종석, 김복한을 비롯하여 유림 대표 137명이 연서한 이 장서를 김창숙으로 하여금 상해로 가져가도록 하였고 이를 다시 김규식을 통하여 파리 강화.. 2022. 12. 9.
서울 관악구 - 효민공 이경직 묘역 효민공 이경직 묘역 - 홈페이지 : http://www.gwanak.go.kr/ http://www.cha.go.kr 조선 현종 9년(1668)에 세워진 효민공 이경직의 신도비이다. 선생은 백사 이항복과 사계 김장생의 제자로 1605년 식년시와 중광별시에 잇달아 합격한 후, 전시에 응시하여 승문원에서 처음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강화유수를 지내다가 병사할 때까지 도승지, 호조판서 등 많은 관직을 거쳤다. 1617(광해군 9년) 일본에 회답사의 종사관으로 다녀오고, 1642년(인조 2년) 이괄의 난 때 전라절도사로 공을 세우고, 1627(인조 5년) 정묘호란 때 병조참판으로서 후금국 사신과 교섭하여 화의를 성립시켰다. 신도비문은 김류가 짓고 글은 3남인 정영이 썼으며, 공의 묘소는 이 묘역 가운데 위치하고 있.. 2022. 12. 9.
서울 강북구 - 우이동 먹거리마을 우이동 먹거리마을 우이동은 도봉산과 북한산 사이의 계곡에 있는 시민의 휴식처로 우이동 입구에서왼쪽은 백운대로 오르는 등산길이며, 도선사를 경유하여 인수봉 정상을 오를 수 있다. 20분 가량 올라가면 원불교 수도원, 성불사, 용덕사, 선운사, 광명사 등 사찰을 찾을 수 있으며 입구에서의 들뜬 분위기는 이내 차분해지며 또 다른 운치를 느낄 수 있다. 산 정상으로는 현재 군부대가 상주하여, 생태계가 서울에서도 드물게 잘 보존되는 우이령, 일명 바위고개로 이어진다. 우이동에서는 우이암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열린다. 우이암까지 가는 길은 꽤 험한데 우이암 옆을 지나 도봉산 주릉으로 올라서게 되어 있다. 이곳에서 북으로 뻗은 주릉을 타거나 성황당, 도봉유원지로 하산하면 된다. ※ 우이령은 예약자만 탐방이 가능하다... 2022. 12. 9.
서울 종로구 - 보성사터 보성사터 - 홈페이지 : http://tour.jongno.go.kr/ 보성사는 1910년 말 창신사와 보성학원 소속 보성사 인쇄소를 합병하여 만든 천도교 계통의 인쇄소이다. 3.1운동 동시 2만 장의 독립선언서를 인쇄한 곳이기도 하다. 당시 보성사 사장이었던 이종일은 공장 감독 김홍규, 총무 장효근 등과 함께 1919년 2월 27일 이곳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하여 자신의 집으로 운반한 뒤, 다음날 전국 각지에 배포함으로써 독립운동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보성사는 30평 2층 기와 벽돌집으로 전동 보성학교 구내에 있었으며, 보성사의 소유주이기도 했던 천도교 교주 의암 손병희의 특명으로 육당 최남선이 초안을 집필하고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선언서를 넘겨받아 사장 이종일, 공장 감독 김흥규, 총무 장효근이.. 2022. 12.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