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서울 동작구 - 사육신공원 사육신공원 - 홈페이지 : https://korean.visitseoul.net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사육신묘는 오늘날 성역으로 가꾸어져 있다.한강 인도교와 노량진역 중간의 높은 언덕에 자리한 사육신묘는 조선조 단종을 강제로 내쫓고 왕위를 빼앗은 세조에 항거하다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김문기 등 일곱 충신 절사의 묘역이다. 숙종은 1681년 사육신의 충성심을 기리는 듯에서 이곳 산 기슭에 '민절서원'을 세우고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총 면적 49,40㎡에 33종 15,000주의 수목으로 조경된 사육신 공원에는 사당인 의절사, 홍살문, 삼문(불이문), 육각비, 신도비 등이 있다. 신도비 비각과 마주보고 있는 육각형의 사육신비는 1955년에 세워진 .. 2022. 12. 9.
서울 서초구 - 관문사(서울) 관문사(서울) - 홈페이지 : http://gwanmunsa.templestay.com 서울시 서초구 우면동 우면산 아래 위치한 관문사는 수도권 천태법음의 요람이자 포교의 중심 도량으로서 1993년 기공식을 갖고 5년여의 공사를 거쳐 1998년 10월 낙성을하였다. 연건평 6,700여 평의 규모로 지하 4층, 지상 7층으로 이루어졌으며 현대와 전통적인 불교건축양식을 병행하여 시공되었다. 건물 내부는 첨단의 설비를 갖춰 다양한 국내외 문화, 학술, 종교의식 등을 치르고 있는 사찰이다. 관문사는 청계산, 우면산, 양재천 등의 천혜 자연 여건과 함께 위치해 있다. 특히 관문사가 자리한 우면산(해발293m)은 소가 누워 있는 형세라 하여 우면산(牛眠山)이란 이름을 붙었으며, 절이 위치한 곳은 길지(吉地)로 손꼽.. 2022. 12. 9.
서울 종로구 - 소림사(서울) 소림사(서울) 소림사는 서울시 종로구 홍지동 80-1번지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이다. 인왕산을 앞에 두고 북악산을 뒤로한 공기 맑고 풍경 좋은 세검정(洗劍亭). 북악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계곡물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세검정은 인조반정 당시 이귀, 김유 등이 칼을 씻고 창의문을 통하여 궁궐로 들어갔다는 이야기로 유명한 역사의 산실이다. 이 세검정 맞은편 산허리에 소림사는 자리한다. 세검정에서 바라보는 소림사의 전경은 나무숲에 가려져 아주 고즈넉해 보인다. 비구니 수행도량으로 화려한 장식의 다른 사찰들 보다 오히려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경내에 들어서면 불공을 드릴 수 있는 작은 법당과 그 앞 작은 마당의 한 가운데를 꽉 채우는 석탑, 말끔하게 정리된 모습에서 소박한 멋을 배우게 된다. 소림.. 2022. 12. 9.
서울 영등포구 - 한강방어백골부대전적비 한강방어백골부대전적비 - 홈페이지 : 영등포 문화관광http://www.ydp.go.kr/tour/viewTnTursmResrceU.do?resrceNo=70&key=4006 국가보훈처 현충시설 정보서비스http://mfis.mpva.go.kr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남침하자 서울 삼각지에 주둔해 있던 제18보병연대(백골연대)는 전선으로 출전하였고, 제3중대(중대장 중위 김상덕)는 연대본부를 지키고 있었다. 6월 28일 적이 서울까지 침공해오자 제3중대는 삼각지에 진지를 급편하여 시가전을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마포를 거쳐 영등포로 철수하여 한강 제방에 진지를 구축하고 도강을 기도하는 적과 대치하였다. 다음날 전선 시찰을 위해 내한하여 한강변의 지형과 국군의 방어 상태를 살펴본 미 극동사령관 맥.. 2022. 12. 9.
서울 중구 - 남산공원(서울) 남산공원(서울) - 홈페이지 : 남산공원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namsan.do 남산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의 상징으로서 높이는 해발 265m로서 본래 이름은 인경산이었으나 조선조 태조가 1394년 풍수지리에 의해 도읍지를 개성에서 서울로 옮겨 온 뒤에 남쪽에 있는 산이므로 ‘남산’으로 지칭되었고 풍수지리상 안산으로 중요한 산이다. 나라의 평안을 비는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산신령을 모시는 신당을 세워 목멱대왕 산신을 모시고 있어 목멱신사라고 불리고 이때부터 인경산은 목멱산으로 불렸다. 1940년 3월 12일 공원으로 지정하여 1968년 9월 10일에 개원하였으며 1991년부터 8년간 “남산제모습가꾸기” 사업으로 공원 내 부정적 시설 89동을 이전하고 .. 2022. 12. 9.
서울 은평구 - 삼천사(서울) 삼천사(서울) - 홈페이지 : http://www.3004.or.kr 통일신라시대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고, 그 규모가 대단히 커서 한때 3000여 대중이 모여 수도 정진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는 서울 지역 승병들의 운집처로 왜병과 혈전을 벌였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진영화상이 중창하고 성운화상에 의해 거듭 중창 복원하였다.경내에 있는 천년고불 마애석불은 고려시대 조성된 것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존진신사리 석종탑과 나한사 5층 석탑이 봉안되어 있어 법신제불이 상주방광하는 성지이며, 기도 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삼천사 마애여래입상은 양감을 뚜렷하게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원만한 얼굴 표정과 부드럽게 흘러내린 유려한 옷고름 등에서 고려불화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매력을 보여 .. 2022. 12.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