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충청북도643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김장축제 괴산김장축제 - 주소 : 충청북도 괴산군 임꺽정로 90 괴산군청 - 홈페이지 : http://www.goesanfestival.com/cabbage/ - 전화번호 : 043-830-3463 괴산만이 갖고 있는 천혜의 자연조건에서 재배한 배추, 청결고추와 전국최고의 명품식재료를 준비하여 번거로운 김장을 편하게 담그는 장을 마련하였다. 유기농농업군 청정자연 괴산에서 자라는 괴산시골절임배추로 맛있고 간편한 김장담그기 체험에서 운반까지 원스톱 김장체험 운영 서비스 제공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2-11-04 ~ 2022-11-06 - 이용요금 : 무료 김장담그기 유료 - 행사 장소 : 괴산유기농엑스포광장 일원/괴산군 11개 읍면 - 공연시간 : 10:00 ~ 20:00 - 주최자 정보 : 괴산군 -.. 2022. 10. 6.
충청북도 충주시 - 보련산 보련산 - 홈페이지 : https://www.chungju.go.kr/tour/index.do * 호젓한 산행을 즐길 수 있는 산, 보련산 * 보련산(764m)은 충주시에서 북쪽으로 약 20km 거리에 있는 산으로 하남현 고개를 기점으로 서쪽의 국망산(770m)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그다지 미려한 맛은 없고, 인파 또한 많이 몰리지 않는 탓에 호젓한 산행을 즐기기에 적당하다. 정상에서 북쪽으로 눈을 돌리면 동암계곡 끝의 온천마을이 보이고 그 뒤로 남한강이 야트막한 산들 사이로 굽이쳐 흐른다. 서쪽으로는 국망산과 오갑산이 손짓한다. 보련산 능선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며, 676m 고지 아래의 자연 동굴을 지나 산 정상으로 올라가면 소나무와 참나무가 빽빽이 들어서 있다. 봄철이면 정상에 넓은 진달래 꽃밭.. 2022. 10. 5.
충청북도 단양군 - 단양조자형가옥 단양조자형가옥 - 홈페이지 : https://www.danyang.go.kr/tour 조자형(趙子衡)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가 맞물려 튼 □자 모양을 이루는 민가형식의 가옥이다. 안채는 19C 중엽 정도에 건축된 우수한 건물이며 사랑채는 20C 중엽에 지은 초가집으로 대문간과 함께 건축되었는데 구조는 일반적인 농가와 유사하다. 주변경관이 아름답지만 집안에 정원시설은 없다.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맞물려서 ㅁ자형을 이루는 전형적인 중부 내륙지방의 민가로 1770년(영조 40)에 조자형(趙子衡)의 5대조인 조경복이 건축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안채는 19세기 중엽, 사랑채는 20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인 것으로 보아 중간에 개축이나 재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납도리 형식의 3평주 3량 가구(架構)에.. 2022. 10. 5.
충청북도 단양군 - 구인사(단양) 구인사(단양) - 홈페이지 : https://www.danyang.go.kr/tour 구인사는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 사찰로서, 전국에 140개나 되는 절을 관장하고 있다. 1945년에 건립되었으며, 1966년 현대식 콘크리트조(造)로 지은 이색적인 건물이다.소백산 국망봉을 중심으로 장엄하게 늘어선 봉우리 가운데 하나인 연화봉 아래에 자리잡고 있으며, 상월원각 스님이 1945년에 이곳에 손수 칡덩굴을 얽어 삼간초암을 짓고 정진 끝에 대도를 성취하여 구인사를 창건하게 되었다.구인사는 현대식 건물의 대가람 (총건축면적 15,014㎡)으로 절 안에는 5층 대법당을 비롯하여 삼보당, 설선당, 총무원, 인광당, 장문실, 향적당, 도향당 등 50여 동의 건물들이 경내를 꽉 메우고 있으며 만여 명이 취사할 수 있는.. 2022. 10. 5.
충청북도 진천군 - 진천 금성대군 사당 진천 금성대군 사당 - 홈페이지 : http://www.jincheon.go.kr/site/tour 금성대군(錦城大君)을 봉향하고 있는 사당으로 조선영조(英祖)16년(1740)에 창건하고 1974년에 삼문과 담장을 보수하였다. 목조와가 정면 3간, 측면 1간, 건평 5.8평 맞배집이다. 금성대군은 (1426~1457) 세종의 여섯째 왕자로 이름은 이유(李瑜),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侯) 심씨이다. 세조(世祖) 2년(1456) 성삼문(成三問) 등 사육신(死六臣)의 단종(端宗)복위운동이 실패하자 이에 연류되어 순흥(順興)으로 유배되었는데 다시 단종 복위를 꾀하다 고변을 당하여 이듬해 사사(賜死)되었다. 영조 14년에 신원(伸寃)되고 휘호는 정민(貞愍)이며 영조 16년에 금성대군을 배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건.. 2022. 10. 5.
충청북도 충주시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홈페이지 : https://www.chungju.go.kr/tour/ http://www.chungbuknadri.net http://www.cha.go.kr 충주 동량면의 정토사터에 있는 비석이다. 신라말에서 고려초의 승려 법경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정토사는 신라말에서 고려초에 창건된 사찰로 법경대사가 이 절의 주지가 되어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다가 태조 24년(941)에 입적하였다고 한다. 그의 뒤를 이어 홍법대사가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비는 전체적으로 보존이 잘 되어 있다. 당시의 양식을 잘 따르고 있는데 비받침에 새겨진 거북조각이나 머릿돌의 용조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머릿돌 앞면의 중앙에는 ‘법경대사’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몸돌에는 대사의 행.. 2022. 10.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