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충청북도643 충청북도 진천군 - 보련마을 보련마을 - 홈페이지 : http://www.jincheon.go.kr/site/tour 보련마을은 만뢰산 깊은 품 안에 들어와 있다. 보련마을은 화랑촌이라고도 불리는데 그건 바로 삼국통일의 주역인 김유신 장군이 이 지역 출신이기 때문이다. 천연염색을 위해 우리는 안승갑 고가로 이동했다. 안승갑 선생은 일제강점기 때 사비로 한글과 역사를 가르치는 학교를 마을에 설립하셨던 분이라고 한다. 천연염색은 꽃이나 식물, 과일 등을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한다. 보련마을에는 마을에서 운영하는 식당인 연꽃가든이 있는데 이곳은 맛집이기도 하다. 보련마을의 숙소는 마치 펜션같이 생겼다. 보련마을에 들러 체험도 하고, 맛집에서 식사 후 숙박해 보길 추천 한다.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보련골길 41-.. 2022. 10. 6. 충청북도 제천시 - 제천 청풍 망월산성 제천 청풍 망월산성 - 홈페이지 : http://tour.jecheon.go.kr http://www.cha.go.kr 충주호반의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있는 산성이다. 해발 373m의 망월산 정상을 돌로 둘러쌓은 작은 산성으로 둘레는 495m이다. ‘사열이산성’ 또는 ‘성열산’이라 불리기도 했다.『삼국사기』에서 문무왕 13년(673)에 사열산성을 더 늘려 쌓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축성한 것으로 짐작한다. 본래 청풍은 고구려의 사열이현이었는데 신라에 편입되어 경덕왕 16년(757)에 청풍현으로 바뀌었다. 현재 성벽은 서남면에 너비 16m, 높이 3m와 남쪽에 너비 15m, 높이 4.6m가 완전한 모습으로 잘 남아 있다. 청풍문화재단지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에는 정자가.. 2022. 10. 6. 충청북도 충주시 - 주정산 봉수 주정산 봉수 - 홈페이지 : https://www.chungju.go.kr/tour/ http://www.chungbuknadri.net http://www.cha.go.kr 충주시 수안보면과 괴산군 장연면의 경계인 주정산 봉우리에 있는 봉수대이다.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이다. 이 봉수대는 고려시대에 축조되어 조선시대까지 이용했다. 남쪽의 미륵리 마골재에서 봉수를 받아 북쪽의 대림산 봉수대에 전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대부분 훼손되었으나 발굴조사 결과 남북으로 긴 타원형의 방호벽과 남북 2곳의 출입구, 봉조 5개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조선시대의 자기류와 그릇조각, 한자와 한글을 같이 새긴 그릇뚜껑, 석제품 등 각종 유물이 발견되었다. 봉수대로써의 역할만 한 것이 아니라.. 2022. 10. 6. 충청북도 괴산군 - 연풍향청 연풍향청 - 홈페이지 : http://www.goesan.go.kr/tour/index.do http://www.cha.go.kr 괴산군 연풍면소재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향청은 조선 전기 지방수령을 보좌하던 자문기관인 유향소의 다른 이름이다. 향촌의 풍기를 단속하고 향리를 감찰하며 마을의 관리임원을 추천하고, 조세나 요역의 부과 또는 분배 등에 대한 자문기능을 담당하였던 곳이다. 연풍향청은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주재소 등으로 사용하였으며, 1963년부터는 천주교 연풍공소로 쓰이기도 했다. 천주교 성지인 연풍성지와 함께 자리하고 있으며 근처 연풍향교와 연풍동헌 등 역사의 흔적이 담긴 건축물이 많이 있다. - 주소 :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중앙로 44 ※ 소개 정보 .. 2022. 10. 6. 충청북도 영동군 - 영동 영모재 영동 영모재 - 홈페이지 : http://tour.yd21.go.kr http://www.cha.go.kr 고성인 남주한의 선조 재실로서 순조 28년(1828)에 건립하였으며 1888년 중수하였다. 방 2칸은 온돌로 되어있는데 연통이 없는 것이 특이하다. 건물 구조는 목조와가로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집이며 아궁이 부분은 시멘트로 개수하였다. 목조와가 팔작오량집으로 대청 중심으로 좌우에는 온돌방 2개가 있으며 돌담과 솟을대문, 현판, 중수기, 상량문 등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다. 굴뚝이 없어 불을 지피면 연기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전통 온돌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 주소 :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관기길 16-5 ※ 소개 정보 - 문의 및.. 2022. 10. 6. 충청북도 옥천군 - 대성사(이원) 대성사(이원)대성사는 충북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에 위치한 한국불교 태고종에 소속되어 있는 사찰이다. 옥천에는 전통사찰로 등록된 대성사가 2군데 있다. 하나는 이원면에 위치한 대성사이며 또 다른 하나는 옥천읍 교동리에 위치한 대성사이다. 모두 태고종에 소속되어 있는 사찰이다. 두 사찰은 같은 이름을 갖고 있으며 현재 한 분의 스님이 두 사찰의 주지를 겸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사찰은 그 사찰의 경영에 있어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동리의 대성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현실에 접목시켜 대중들과 함께하고자 하는 도량이다. 선남선녀의 만남을 주선해 참다운 인연을 맺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산사음악회 및 연등축제를 개최해 지역 주민과 더불어 함께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해 나가고자 하고 있다. 반면에 이.. 2022. 10. 6.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10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