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충청남도847

[충청남도 부여군] 백제문화제 「제68회 백제문화제」 백제문화제 「제68회 백제문화제」 - 주소 : 충청남도 부여군 백강로 135 - 홈페이지 : http://www.baekje.org - 전화번호 : 041-635-6980 68년을 이어온 백제문화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강국이었던 백제의 전통성에 근거하여 백제의 수도였던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1955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역사재현형 축제이다. 또한 2015년7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백제의 후예들과 관광객들이 만들어가는 세계적인 역사문화축제로 나아가고 있다. 제68회 백제문화제는 찬란한 문화를 꽃 피워 이웃나라에 전파함으로써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했던 '한류원조로서의 백제문화'를 국내외에 확산시키고, 세계적인 축제로 거듭나기 위하여 2022년 10월 1일부.. 2022. 10. 6.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 캠프인코지 글램핑 카라반 홍성 캠프인코지 글램핑 카라반 -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홍보로 1316 - 민간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운영기간 : 봄,여름,가을,겨울 - 운영일 : 평일+주말 - 업종 : 일반야영장 - 화로대 : 개별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2. 10. 5.
[충청남도 계룡시] 2022 전국풍물 상설공연 <어울마당 풍물세상> 2022 전국풍물 상설공연 - 주소 :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정장리 14-1 - 홈페이지 : www.kotpa.org - 전화번호 : 02-580-3263 전국풍물 상설공연 은 2013년부터 지역 풍물단체의 인지도 확산과 대중들의 전통예술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시작됐다. 전국에 분포한 특색있는 연희·풍물 단체들을 지원하여, 각 지역의 도심·관광지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흥겨운 공연을 선보이고자 합니다. 2013년부터 지금까지 총 665회의 공연을 통해 24만여명이 함께한 본 공연은 청주, 계룡, 경주 3개지역에서 9월부터 11월까지 만나볼 수 있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2-09-03 ~ 2022-11-05 - 관람 가능연령 : 관람연령 제한없음 - 이용요금 : 관람료 무료 - 행사 장.. 2022. 10. 4.
[충청남도 예산군] 2022 의좋은 형제 축제 2022 의좋은 형제 축제 - 주소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의좋은형제길 3 - 홈페이지 : http://gbfesta.kr - 전화번호 : 010-2563-0139 고려 말 조선 초 충남 예산군 대흥면의 의좋은 형제(이성만, 이순) 이야기를 주제로하는 축제이다. 의좋은 형제 축제를 통하여 가족사랑이 의미를 부각시키고 온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차별화된 축제로 가족소통, 시골, 자연을 테마로 하는 소박하지만 내실있는 지역 축제로 올해 축제의 주제는 '볏짚놀이터'이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2-11-05 ~ 2022-11-06 - 관람 가능연령 : 전연령 가능함 - 이용요금 : 무료 - 행사 장소 : 의좋은 형제 공원 일원 - 공연시간 : 10:00~20:00 - 주최자 정보 : 대흥.. 2022. 10. 4.
[충청남도 공주시] 제63회 한국민속예술제 제63회 한국민속예술제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고마나루길 90 고마문화복합센터 - 홈페이지 : http://www.kfaf.or.kr - 전화번호 : 02-580-3278 1958년부터 매년 10월 전국 광역 시·도를 순회하며 17개 시·도 및 이북5도의 대표 민속예술이 한자리에 모여 60여년간 경연을 펼쳐 온 한국민속예술제! 올해 63회째를 맞이하는 한국민속예술제는 10월 28일(금) ~ 10월 30일(일) 충청남도 공주시 아트센터 고마에서 개최된다. 본 행사는 해를 거듭하며 700여개의 민속예술 종목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국가무형문화재 44개, 시·도 무형문화재 135종목 지정에 기여했으며 그 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11종목이 등재되는 성과를 거뒀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 2022. 10. 4.
충청남도 홍성군 - 결성향교 결성향교 - 홈페이지 : http://tour.hongseong.go.kr http://www.cha.go.kr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23년에 도유사(都有司) 가진(賈璡)이 중수하였고, 1674년에는 현감 남종표(南宗標)가 중수하였으며, 그 뒤 1699년·1752년·1822년·1828년·1841년·1865년에 부분적인 보수공사가 있었고, 1914년과 1923년에 지방유림이 모은 기금으로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제기고(祭器庫)·내삼문(內三門)·홍살문 등이 있다. 대성전은 맞배지붕에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이며 내부에는 .. 2022. 9.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