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충청남도823

충청남도 예산군 - 대련사 대련사 백제 부흥의 한이 서린 임존산성이 예당호수를 내려 보는 절집, 예산 봉수산(鳳首山) 대련사 사찰에 가까운 임존산성 안에 연못(蓮塘)과 우물(蓮井)이 있어서 큰 연꽃이 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바로 대련사이다. 현재는 더 큰 연못이라 할 수 있는 아름다운 예당호수가 저 멀리 보이고, 절 앞에 위치한 늙은 두 그루의 느티나무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700년을 훨씬 넘긴 고목이다. 닭 벼슬을 닮은 봉수산에 위치한 이 대련사는 백제와의 깊은 인연을 갖고 있는 사찰이다. 물론 백제 지역에 위치한 사찰 치고 백제 멸망의 슬픈 사연을 한처럼 지니지 않은 곳이 없다. 하지만 이 사찰은 백제가 신라에게 최후까지 항전을 했던 임존산성 가까이에 있어 더욱 신빙성이 높다. 대련사는 백제가 멸망하기 얼마 전인 의자왕 1.. 2022. 9. 22.
충청남도 부여군 - 홍산동헌 홍산동헌 - 홈페이지 : http://tour.buyeo.go.kr http://www.cha.go.kr 동헌은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의 수령이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 등 공적인 일을 하던 곳이다. 흥선대원군은 정권을 잡은 후 관청의 위엄을 세우기 위하여 전국에 걸쳐 관청건물을 정비하였다. 그 일환으로 고종 8년(1871) 정기화 군수가 세웠다. 해방 후 홍산지서로 사용하다가 1984년에 부여군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보수하였다. 앞면 7칸·옆면 2칸의 크기로 중앙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에 각각 크기가 다른 온돌방을 설치했다.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관청의 위엄을 나타내고 있다. 동헌 앞에 있는 이정우 가옥은 관아문과 형방청으로 사용하던 건물이다. - 주소 : 충청남도 부.. 2022. 9. 22.
충청남도 부여군 - 홍산객사 홍산객사 - 홈페이지 : http://tour.buyeo.go.kr/ http://www.cha.go.kr 조선 헌종 2년(1836) 홍산군에 세운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국왕의 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는 한편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중앙관리를 접대하고 유숙시키던 곳이다. 중앙에 정당이 있고 양쪽에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앞면은 문짝없이 트였고 옆면과 뒷면은 벽을 둘러 막았다. 내부는 통칸으로 트인 넓은 대청마루이다. 앞면 5칸·옆면 2칸의 동익실은 앞면은 개방하여 툇마루를 놓았고 오른쪽 3칸은 대청·왼쪽 2칸은 온돌방을 들였다. 서익실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동익실과 같은 구조이다. 그러나.. 2022. 9. 22.
충청남도 아산시 -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 홈페이지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8,01960000,34&pageNo=5_1_1_0 넓은 평지에 자리 잡은 마을 한가운데에 있으며 전체 평면은 巴자형으로 동남향을 축으로 하고 있으며 뒤쪽에 ㄱ자형 안채, 중간에 ㄴ자형 사랑채, 바깥에 ㄴ자 행랑채를 둘러서 일자형을 만들고 동쪽 모서리에 ㄴ자 바깥사랑채를 배치했다. 행랑채는 길에 면하고 있으나 바깥 사랑채에는 담을 둘러서 앞에 별도의 대문을 설치하였다. 바깥 사랑채와 안채 사이에도 담장으로 구획하고 편문을 두었다. 안채는 9칸 ㄱ자형으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평면구성인데 부엌이 동쪽에 배치된 것이 다르다. 가로 칸은 전퇴, 세로 칸은 .. 2022. 9. 22.
충청남도 부여군 - 군창지 군창지 - 홈페이지 : http://tour.buyeo.go.kr http://www.cha.go.kr 부소산성 내의 동남부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되는 곳에 있는 이 군창지(軍倉址)는 1915년 이곳 지하에서 불에 탄 곡식이 발견됨으로써 백제시대 군량(軍糧)을 비축해 두었던 창고터로 알려지게 되었다.백제 때 군수물자를 비축했던 곳으로 부여 부소산성(扶蘇山城:사적 5) 동쪽 정상부에 있다. 이곳은 영월대(迎月臺)라 하여 넓고 평평한 광장인데,1981년과 1982년 두 차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건물터의 규모가 상세히 밝혀졌다. 건물의 배치는 ㅁ자 모양으로 가운데 공간을 두고 동서남북으로 배치하였는데 길이 약 70m, 넓이 약 7m, 땅속 깊이 약 47cm 정도이다. 지금도 이 일대를 .. 2022. 9. 21.
충청남도 당진시 - 면천향교 면천향교 - 홈페이지 : http://www.dangjin.go.kr/tour.do http://www.cha.go.kr 1392년(태조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66년에 대성전과 동재(東齋)를 보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재·서재·명륜당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폐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다. 그러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현재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 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2022. 9.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