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제주도240

제주도 제주시 - 신촌향사 신촌향사 - 홈페이지 : http://www.visitjeju.net/ http://www.cha.go.kr 신촌향사는 마을의 공무를 처리하던 곳이다.조선 순조 5년 (1805)에 이곳으로 옮겨 지었다고 하며, 그 뒤로도 여러 차례 고쳐서 원래의 형태에서 많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보수 때 침수에 대비하여 지대를 높이면서 본래의 분위기를 거의 잃었다.앞면이 7칸으로 제주도의 일반 민가보다 규모가 크고 가운데 있는 대청도 넓다. 그러나 구조와 양식 등은 민가와 거의 비슷하다.신촌향사는 우리나라에 별로 많지 않은 용도의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 (출처 : 문화재청)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5길 (신촌리)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64-740-6000 본 저작물은 '한.. 2022. 12. 7.
제주도 제주시 - 정물알오름 정물알오름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금악 이시돌목장내에 있는 정물오름으로 서쪽 기슭자락에 위치한 원추형의 작은 오름이다. 이 봉우리는 항공사진 판독결과 화산체의 형태와 화구의 존재가 인정되어 정물오름과는 별개의 독립된 화산체로 보아야 하며, 주변의 언덕들은 정물오름화구에서 흘러나오는 암설류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해송이 주를 이루면서 삼나무 조림지 등 울창한 숲을 이루고 한창로 도로 건너까지 이어져 있다. ※ 표고 : 355.5m 비고 : 41m 둘레 : 860m 저경 : 313m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로 (한림읍)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제주관광정보센터 064-740-6000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 2022. 12. 7.
제주도 서귀포시 - 갯거리오름(갯그르) 갯거리오름(갯그르)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1100도로변에 위치한 거린사슴 동측으로 이어져 있는 오름으로, 거린사슴과 1100도로의 가파른 고갯길을 사이에 두고 갈리어 있는 별개의 원추형 화산체이다. 거린사슴 중턱의 1100도로가에서는 운전자들이 쉴 수 있는 간이 휴게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제주도 남서부지역의 풍광은 물론 서귀포시에서 부터 모슬포 해안까지의 바다경치를 만끽할 수 있는 전망대가 되고 있다. 갯거리오름으로 불리우고 있는 오름이 한림읍 명월리 문수동 동쪽에도 있다.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100로 (대포동)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제주관광정보센터 064-740-6000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 2022. 12. 7.
제주도 서귀포시 - 후곡악 후곡악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전사면에 부분적으로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고 그외 지역은 풀밭을 이루고 있다. 산 모양이 뒤로 굽어 있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한자로는 뜻을 빌어 後曲岳, 後俯岳, 九分岳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궁대악, 돌미, 낭끼, 좌보미 등전장 600m의 등성마루가 구부러지며 화구를 감싸안고 서 서남향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로 초승달 모양을 이루고 있다. 화산체 형성 당시 원형 분화구에서 서쪽부분이 침식되어 없어진 형태로 보인다. (표고 : 206.2m 비고 : 36m 둘레 : 1,188m 면적 : 54,168㎡ 저경 : 389m)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주동로 (수산리) 일대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 2022. 12. 7.
제주도 제주시 - 흙붉은오름 흙붉은오름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한라산국립공원내에 제주시 아라동과 조천읍 교래리의 경계에 위치한 오름으로, 한라산 백록담을 중심으로 동부 산록상에서는 가장 높고, 한라산 정상에 가장 가까운 오름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화구 방향에 속칭 숫오름이라 불리는 돌오름이 마주해 있다. 화구의 잔디로 된 사면에는 시로미, 그 아래로 구상나무 등 고산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오름 등성마루에서는 흰진달래 자생목이 발견된 바 있다. 돌오름(숫오름)과 비교하여 옥문형이라 일컬어지는 말굽형화구 깊숙한 곳에는 샘이 있는데, 이 샘은 기생화산 화구내의 샘으로서는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해 있는 샘이다. ※ 오름명의 유래오름의 흙이 매우 붉음.. 2022. 12. 7.
제주도 서귀포시 -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 홈페이지 : https://www.visitjeju.net/kr/ 예전 정의(성읍) 고을에서 여인숙으로 사용하였던 곳이다. 19세기초에 세운 것으로 보이며 정의향교와 이웃해 있다. 안채(안거리)와 헛간채를 둔 단촐한 구성의 집으로 지금도 주민들 사이에서는 '여관집'으로 불린다. 문을 들어서면 왼쪽 곁으로 헛간채, 그 앞 마당을 가로질러 안채가 있다. 안채 뒤편에는 넓은 텃밭과 수목들이 우거져 집 주변과 안의 경치를 조화롭게 꾸미고 있다. 안채는 한라산 산남지역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3칸 집이다. 앞에서 볼 때 왼쪽부터 부엌, 대청, 안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엌 뒤쪽에 작은방, 안방 뒤쪽에 곡물을 쌓아 두던 '고팡'을 마련하였다. 대청마루와 안방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두었.. 2022. 12.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