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라북도603 전라북도 남원시 - 승련사(남원) 승련사(남원) - 홈페이지 : 승련사 http://cafe.daum.net/ntsls 남원 문화관광 http://www.namwon.go.kr/tour/index.do 승련사는 전북 남원시 산동면 식련리 221번지 선학원 사찰이다. 불자(佛子)가 열심히 수행하고 남을 위하여 선행을 하는 이타적인 보살행(菩薩行)을 한다는 의미의 만행(萬行). 만행산이 지니고 있는 뜻처럼, 승련사는 많은 수행승들이 수도하면서 불법에 용맹정진하고 있는 사찰이다. 승련사는 걸출한 여러 스님들과 인연이 닿아 있다. 이곳에 주석하였던 졸암선사, 각운선사를 비롯하여, 태고 보우선사, 환암 혼수선사, 홍혜국사 등이 그들이다. 이러한 유명한 승려들의 이름을 뛰어넘고자 그곳에는 많은 비구니 스님들이 밤낮도, 침식도 잊은채 부처님의 진리를.. 2022. 12. 2. 전라북도 진안군 - 고림사 고림사고림사(古林寺)는 진안군 부귀산(富貴山)에 위치해 있다. 고림사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원효 스님이 부귀산에서 수도한 것이 계기가 되어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원효 스님은 삼국통일의 대업이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원리대로 원만히 성취되기를 소망하여 부안의 변산, 진안의 부귀산 등 주로 편안할 ‘안(安)’자가 들어 있는 곳을 찾아 수도했는데, 그 자리가 곧 고림사 근처에 있는 좌선대(坐禪臺)라고 한다.뒤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는 잘 전하지 않는데, 다만 고려 때는 절을 상림사(桑林寺) 혹은 운림사(雲林寺)로 불렀다고 한다. 고림사라는 이름은 절 주위에 수백 년 된 거목들이 가득 들어 차 있어 언제부터인가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근대에 와서 1928년에 절 전체.. 2022. 12. 2. 전라북도 완주군 - 천호성지 천호성지 - 홈페이지 : http://www.cheonhos.org 천호 성지는 150여 년의 전통을 가진 천호 공소가 있던 천호산 기슭에 있다. 이곳에는 여산(현재의 전라북도 익산)에서 치명한 무명 순교자들과 병인년(1866) 전주 숲정이에서 순교한 손선지(베드로, 1820~1866), 정문호(바르톨로메오, 1801∼1866), 한재권(요셉, 1836~1866), 이명서(베드로, 1821~1866) 등 네 분의 성인이 묻혀 있다. 세계 각국에서 수집된 다양한 가톨릭 성물 600여 점이 전시돼 있는 천호가톨릭 성물박물관이 있다. 천호산 주변에는 과거 천주교 박해를 피해 숨어 지내거나 미사를 집전했던 공소터가 남아있는데 이를 연결하여 조성한 품안길이라는 순례길이 있다. -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 2022. 12. 2. 전라북도 남원시 - 매계서원 매계서원 - 홈페이지 : 2022. 12. 2. 전라북도 전주시 - 학소암(전주) 학소암(전주) 학소암은 도심 가까이에 위치하여 시끄러운 소리도 들릴 법한 사찰이지만, 학이 알을 품고 있듯 아늑하고 고요한 절집이다. 학소암에 전하는 전설로는 입구에 있던 꽃샘방죽과 관련이 있다. 사시사철 연꽃이 만발한 꽃샘방죽은 나그네의 쉼터로 이용되었는데, 어느날 나병환자가 연꽃의 아름다움에 취해 물 속에 들어가 목욕을 하자 병이 나았으나 그후 연꽃은 사라져 버렸다. 이후 동네 사람들은 꽃샘의 영험함을 기려 칠석날마다 목욕재계하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학소암은 학이 있는 곳은 작고 아담해야 지형과 맞다고 하는 스님의 믿음대로 학소암은 고덕산 아래 오목하게 들어간 곳에 작은 전각들이 알맞게 배치된 예쁜 사찰이다. 아담한 경내에는 자음전이라는 아름다운 전각이 배치되어 있다. “자음”이란 화엄경에 나오는.. 2022. 12. 2. 전라북도 장수군 - 압계서원 압계서원 - 홈페이지 : https://www.jangsu.go.kr/tour/index.jangsu http://tour.jb.go.kr/index.do http://www.cha.go.kr 1789년(정조 13)에 창건되었으며 처음에는 고려의 명신 육려(陸麗)와 함께 임옥산(林玉山)·박이항(朴以恒) 등 3인의 신위를 모셨다. 이어 1798년(정조 22) 박이겸(朴以謙), 1799년에 전설(全渫)을 각각 배향함으로써 모두 5위의 위패를 봉안했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철거된 뒤 후손들이 제단을 만들어 제사만 지내다가 1958년 중건되었다. 외삼문인 산앙문(山仰門)을 들어서면 왼쪽에 압계사(鴨溪祀) 사적비가 서 있고 맞은편에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에 맞배지붕으로 된 울.. 2022. 12. 2.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10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