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익산시49

전라북도 익산시 -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익산근대역사관)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익산근대역사관)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 등록문화재 제180호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은 전라북도 익산시 중앙동에 있는 옛 삼산의원 건물이다. 이곳은 2005년 6월 18일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봉교 소유이다.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인 김병수(金炳洙)가 1922년에 의원을 개원했던 건물이다. 연면적 289.26㎡의 2층 건물로 당시로서는 규모가 큰 건물이었다. 건축 벽면에 수평의 띠 모양을 돌출시킨 코니스 장식을 두르고 건물 입구의 포치는 아치형을 이룬다.8·15광복 뒤에는 한국무진회사와 국민은행으로 사용되었다. 근대 초기 건축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 2023. 2. 27.
전라북도 익산시 - 달빛소리 수목원 달빛소리 수목원 - 홈페이지 : https://blog.naver.com/dal90651 20여 년 전부터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희귀한 고목들로 2018년 6월 사설 수목원으로 개장하였다. 아담한 규모의 수목원으로, 기묘한 형상의 고목들을 곳곳에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수목원의 마스코트인 '황순원의 소나기 나무', '첫사랑 나무'라고도 불리는 500년 된 느티나무와 청괴불나무, 삼각소나무, 연필향나무, 금목서&은목서 등 약 50여 종의 희귀목을 보유하고 있다. 봄에는 개나리, 진달래, 벚꽃이 피고, 여름에는 백합, 산나리꽃, 목화꽃이, 가을에는 천일홍, 백일홍, 금목서, 은목서, 단풍이, 겨울에는 동백나무꽃, 납매를 볼 수 있어 사계절 꽃 속에서 커피 한 잔과 함께 힐링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네이버.. 2023. 2. 27.
전라북도 익산시 - 용안향교 대성전 용안향교 대성전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용안향교대성전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에 자리하고 있는 용안향교는 용안 초등학교 바로 뒤쪽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용안향교는 소설위(小說位)로 대성전에는 중국의 다섯 성인과 4현인, 그리고 우리나라의 18현인을 배향하고 있다. 이 향교의 중앙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이 주위에 담장을 하고 자리하고 있다. 대성전 오른쪽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인 명륜당과 정면 4칸의 교직사가 있다. 또한 대성전 왼편에 정면 3칸의 현재는 충효관으로 이름이 바뀐 전사재가 일직선 위에 나란히 용안초등학교 교정을 한눈에 내려 보고 있다. * 용안향교의 역사 전하여 오는 이.. 2022. 12. 5.
전라북도 익산시 - 모현동 부도 모현동 부도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모현동부도 모현동부도는 1984년 4월 1일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이 부도는 혜봉원에 있다. 혜봉원은 1894년(고종 31)에 삼곤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는데, 1955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뀐 것이라고 전해진다.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이 부도는 군산의 보천사에 있던 것을 이곳 혜봉원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연화당부도’라 부르기도 한다. 전체적인 모습은 낮은 사각바닥돌 위로 3단을 이루는 8각 기단을 쌓고, 공 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후 8각 지붕돌을 얹은 구조이다. 기단 중에서 아래받침돌은 두 겹의 연꽃잎을 둘러 새겼으며, 그 위로는.. 2022. 12. 5.
전라북도 익산시 - 익산 함라마을 옛 담장 익산 함라마을 옛 담장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 * 익산 함라마을 돌담길 * 함라마을의 돌담길은 주택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데도 담장이 높은 점이 특징이다. 흙다짐에 돌을 박은 형식인 토석담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밖에도 토담, 돌담, 전돌을 사용한 담 등 다양한 형태의 담이 섞여 있고, 담장 일부는 거푸집을 담장의 양편에 대고 황토 흙과 짚을 혼합하여 축조되었다. 마을 주민들 스스로의 힘으로 세대를 이어가며 만들고 덧붙인 우리 민족의 미적 감각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문화유산이다. 마을의 건축물은 새마을운동 당시 상당 부분이 신축 또는 개축된 것으로 시도민속자료 ‘김안균가옥’ 등의 지정문화재가 마을의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차순덕 가옥의 담장은 거푸집을 .. 2022. 12. 5.
전라북도 익산시 - 심곡사(익산) 심곡사(익산)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 * 심곡사의 유물 심곡사칠층석탑 * 심곡사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176번지 미륵산 기슭의 장암마을 위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의 말사이다. 심곡사는 사찰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신라시대에 무염대사(無染大師)가 수도할 장소를 찾던 중 미륵산 깊은 골짜기에 들어와 절을 세움으로써 심곡사(深谷寺)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심곡사가 위치한 미륵산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전 서동(薯童)왕자인 무왕(武王)이 백제의 부흥을 꿈꾸며 세웠던 미륵사가 자리 잡은 곳이기도 하다.심곡사의 대웅전 앞에 자리한 심곡사칠층석탑은 2001년 9월 21일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원래는 심곡사에서 200m 정도 떨.. 2022. 1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