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익산시49

전라북도 익산시 - 미륵사지 석등하대석 미륵사지 석등하대석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http://iksan.museum.go.kr/ 미륵사지 동원과 중원에 남아 있는 석등하대석으로 한국석등의 시원 양식이다. 등은 어둠을 밝히는 조명기구로서 불교에서 석등을 만듦으로 부처의 진리를 비쳐주고 모든 중생을 선한 길로 인도해 준다는 의미가 있다. 미륵사지 석등은 원래 탑과 금당의 중간에 배치되어 3개가 있었는데, 발굴조사과정에서 2기만 확인되었으며 화사석 3개가 국립전주박물관에 보관 전시되고 있다. 미륵사지 석등하대석 상면에는 8개의 연화문이 조각되었는데, 백제말기 연화문 수막새의 무늬와 같은 양식으로 백제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미륵사지 석등하대석이 한국석등의 시원 양식임을 알 수 있다. .. 2023. 2. 28.
전라북도 익산시 - 익산 쌍릉 익산 쌍릉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 http://www.cha.go.kr 익산 쌍릉은 백제말기 굴식 돌방무덤으로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봉분이 동서로 약 200m의 사이를 두고 자리하고 있으며, 동쪽의 능은 '대왕뫼'라 불리며, 서쪽의 능은 '소왕뫼'라 불린다. 내부는 모두 부여 능산리 고분 돌방과 같은 형식으로, 백제 말기인 7세기 전반의 형식이며 부근의 미륵사지가 백제 무왕때 창건되었음을 감안하면 이 능은 무왕과 왕비의 능묘일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마한(馬韓)의 무강왕(武康王)과 그 왕비의 능이라고도 하며, 백제 무왕(武王)과 선화비(善花妃)의 능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도굴된 기사가 있고, 1917년에 학술적인 .. 2023. 2. 28.
전라북도 익산시 - 아가페정원 아가페정원 - 전화번호 : 063-856-4671 아가페정원은 전라북도 제4호 민간정원으로 메타세쿼이아, 섬잣나무, 공작단풍 등 수목 17종 1,416주기 등재되어 있다. 1970년 故 서정수 신부가 노인복지시설인 아가페정양원을 설립하였으며, 시설 내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위해 자연친화적인 수목 정원을 조성하였다. 정원 자체가 수목원처럼 잘 가꾸어진 늘푸른 숲을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휴식과 정서함양을 제공하고자 2021년 3월 민간정원으로 등록한 후, 정비사업을 거쳐 시민쉼터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계절마다 수선화, 튤립, 목련, 양귀비 등 아름다운 꽃의 향연이 이어지고, 하늘 높이 뻗은 메타세쿼이아가 울타리처럼 조성된 산책길이 인상적이며, 향나무, 소나무, 오엽송, 공작단풍, 백일홍 등의 관상.. 2023. 2. 28.
전라북도 익산시 - 익산 입점리 고분 익산 입점리 고분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 http://www.cha.go.kr * 백제의 무덤군, 익산 입점리고분 * 전라북도 익산시 입점리 칠목재 구릉 중턱에 있는 백제무덤들로 사적이며, 지정면적 1만 8,520m2 에 해당한다. 입점리 칠목재에서 동남으로 뻗은 해발고도 100m 구릉의 중턱에 분포하고 있으며, 고분군 중 8기(基)가 발굴 조사되었다. 조사된 고분 8기 중 제1호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파괴고분이고, 구조형식은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제1호분의 분구(墳丘) 크기는 지름 약 16m, 높이는 2m 안팎이다. 돌방의 구조는 널방[玄室]과 널길[羨道]로 이루어졌다. 널방의 평면은 거의 직사각형에 가까우며, 돌방은 구릉 경.. 2023. 2. 28.
전라북도 익산시 - 미륵산(익산) 미륵산(익산) - 홈페이지 : 익산 문화관광 http://www.iksan.go.kr/tour * 미륵사지를 감싸고 있는 산, 미륵산(익산) * 미륵산은 금마에서 북쪽으로 8리 정도의 거리에 금마면, 감기면, 낭산면에 걸쳐 있는 높이 430m의 산으로 옛날에는 이산의 동쪽에 이어져 있는 높이 350m정도의 낮은 산봉까지를 포함하여 용화산이라 불렀으나 지금은 구분하여 미륵사지가 있는 북쪽은 미륵산이라 하고 나머지 지역은 용화산이라 하고 있다. 미륵이나 용화는 모두 미륵신앙과 관련이 있는 명칭으로써, 원래는 용화산이라 하던 것이 미륵사가 지어지면서 그 주변산만을 미륵산이라 칭한 것이라 보인다. 이 산은 천호산의 줄기가 동서로 가로질러 이룬 산으로 북으로는 황산벌이 보이고 남으로는 멀리 호남평야를 바라보는 평.. 2023. 2. 27.
전라북도 익산시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 http://www.cha.go.kr * 고려 전기의 석탑, 왕궁리 5층석탑(국보) * 1997년 1월 1일 국보로 지정된 석탑이다. 마한시대 도읍지로 알려진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곳에 있는 석탑이다. 1기단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수리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했다. 1965년 해체·수리하면서 탑의 1층 지붕돌 가운데와 탑의 중심기둥을 받치는 주춧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이때 발견된 고려시대 유물은 국보 제289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석탑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지만 탑주변에서 "왕궁사" "대관".. 2023. 2.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