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북구93

광주 북구 - 충민사 충민사 - 홈페이지 : http://www.bukgu.gwangju.kr/culture * 전상의 장군을 모시는 곳, 충민사 * 충민사는 전상의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전상의 장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장군으로 이후 정묘년에 전사하였다. 난이 끝난 후, 곧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이어서 안주로부터 출생지인 광주로 시신을 옮기어 동년 7월 26일 이곳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평두산에 예장하였다.1977년 광주 지역민들의 뜻을 모아 장군의 묘소를 지방문화재 기념물로 지정하고 1985년 충민사를 준공하였다. 이 곳 충민사에는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을 비롯, 수의문, 정려각, 장군의 유물을 전시한 유물관 등이 있다. 또한 광주고등학교에서 사구동에 이르는 거리.. 2022. 7. 6.
광주 북구 - 광주 충효동 요지 광주 충효동 요지 - 홈페이지 : http://culture.bukgu.gwangju.kr http://www.cha.go.kr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삼강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이다.가마의 구조는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시설, 도자기를 집어넣는 번조실, 굴뚝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둥근 무덤 형태가 연결된 모양으로 되어 있다.『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과 출토유물의 연도를 통해 1430년을 전후해 만들어지기 시작된 것으로 보고있다. 그 후 약 70~80년간 자기제작이 지속되다가 16세기 초에 중단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초기에는 분청사기만 만들다가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같이 제작했으나, 분청사기 무늬가 조잡해지면서 생산량이 줄어들었다. 반면 백자를 본격적.. 2022. 7. 6.
울산 북구 - 강동사랑길 강동사랑길 - 홈페이지 : https://www.bukgu.ulsan.kr/lay1/S1T203C307/contents.do 2011년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일환으로 시작된 강동사랑길은 바다와 산을 연결한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명품녹색길로 울산뿐만 아니라 타 시도에서도 전화문의와 탐방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014년에는 당사해양낚시공원에 용조형물을 설치하였으며, 2015년에는 우가항이 내려다보이는 해안가에 사진찍기 좋은 녹색명소 포토존 전망대를 설치하여 강동사랑길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좋은 추억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 주소 :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구유동 654-1번지 외 7개소 ※ 소개 정보 - 수용인원 : 제한없음 - 문의 및 안내 052-241-7733 - 개장일 : 20141215 - 주차.. 2022. 6. 30.
울산 북구 - 송정 박상진호수공원 송정 박상진호수공원 - 홈페이지 : http://www.bukgu.ulsan.kr/ - 전화번호 : 052-241-7732 울산 대표 독립운동가 고헌 박상진 의사 이름을 딴 친환경수변공원이다. 전망대, 산책로(3.6킬로), 미로정원, 습지원 등이 조성되어 있고, 무룡산과 이어지는 천혜의 자연관광 자원이다. - 주소 : 울산광역시 북구 저수지길 158-31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2-219-7550 - 주차시설 : - 이용시간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2. 6. 30.
울산 북구 - 신명·정자해변 신명·정자해변 - 홈페이지 : http://tour.ulsan.go.kr 울산의 바다를 끼고 있는 주전에서 출발하여 잘 포장된 해안도로를 타고 20분 정도 북쪽으로 올라가면 강동 정자포구가 나온다. 마을 어귀에 들어서면 입심좋은 아낙들과 매운탕거리나 횟거리를 흥정하는 사람들의 정겨운 풍경과 살아서 파닥거리는 싱싱한 해산물을 눈동냥하여 다니다보면 사람사는 풍경도 재미있지만 이곳 특유의 멸치회 별미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기도 한다. 저녁이면 만선인 배가 포구에 들어오면 갑자기 생기가 돈다. 이른 새벽을 가르며 바다로 떠난 어선들이 귀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잔잔하던 포구가 만선기에 어울려 뭇 사람들이 모여들고, 힘차게 날아 올라 어선 주위를 맴도는 갈매기의 날개짓 사이로 햇살이 잘게 부서져 흩.. 2022. 6. 30.
울산 북구 - 신흥사(울산) 신흥사(울산) 함월산 신흥사(含月山 新興寺)는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동 739변지에 소재한 사찰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푸르른 녹음 따라 함월(含月)의 골짜기로 들어서면, 신라의 선덕여왕 당시에 설립된 고찰 신흥사가 자리하고 있다. 신흥사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룬 후 당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문두루비법(文豆婁秘法)으로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명랑조사(明朗祖師)가 세운 사찰이다. 건흥사의 창건주가 신라 호국불교를 지표로 삼은 명랑조사였다는 사실은 호국도량으로서 신흥사의 면모를 짐작케 한다. 문무왕 당시 신라가 만리성을 쌓는 동안 신흥사에는 승병 백여 명이 머물면서 무술을 닦았다고 하니, 이 절이 초기부터 승병과 관련된 호국도량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양란 때는 승병.. 2022. 6.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