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북구92 울산 북구 - 정자.당사마을 정자.당사마을 천혜의 해안경관과 탁 트인 넓은 시야의 해변이 있어 울산의 해맞이 감상 최적지로 손꼽히는 강동 해변. 청정해역과 바위절경, 몽돌 흑자갈 등 수려한 해안자연경관을 지니고 있다. 어촌계에서 운영하는 활어직판장에서 싱싱한 회를 맛볼 수 있고, 국도 31호선을 따라 경주, 감포까지 이어지는 해안 드라이브코스도 일품으로 피서철에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관광명소이다. - 주소 : 울산광역시 북구 당사동 359-1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울산종합관광안내소 052-277-0101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 2022. 9. 2. 부산 북구 - 구포만세거리 구포만세거리 - 홈페이지 : https://blog.naver.com/bsbukgusns 구포역에서 구포시장까지 가는길로 구포장터 3.1 만세운동에 관한 벽화들을 볼 수 있다. 구포장터 3.1 만세운동은 1919년 3월29일 구포장터에서 1,200여명이 대규모 만세운동을 벌여 김옥겸 선생 등 42명이 옥고를 치른 부산의 대표적인 독립만세 운동이며, 의거의 주축이 주로 유림, 학생이었던 타 지역과 달리, 상인, 노동자 등 서민 대중들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주소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구포동)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 2022. 9. 2. 대구 북구 - 팔거산성 팔거산성 - 홈페이지 : http://www.buk.daegu.kr/tour/index.do http://www.cha.go.kr 팔거산성은 일명 독모성(獨母城)이라 기록(記錄)되기도 하며, 가산산성 (架山山城)이 구축되기 전까지는 대구 북방의 군사적 요충지였다. 대구광역시 북쪽 팔공산의 지맥 끝자락에 위치한 산성으로, 성안에 평지와 계곡을 품고 산꼭대기를 둘러 쌓았다. 산의 생김새가 함지를 엎어놓은 것과 비슷하여, 이 산을 함지산 또는 방티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해발 300m가 넘는 가파른 경사를 이용하여 흙과 잡석을 섞어 쌓았다. 산성의 서쪽 기슭 아래에 4∼5세기경에 만들어진 무덤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팔거산성 역시 이 무덤을 쌓은 세력 집단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 주소 : .. 2022. 9. 1. 대구 북구 - 이태원길(대구) 이태원길(대구) - 홈페이지 : https://www.buk.daegu.kr/tour/index.do/ 문화예술거리 이태원길은 칠곡의 천재 소설가 이태원을 기리는 문화예술거리로, &apos이태원길&apos은 특색적인 문화자원으로 관광화하여 북구의 대표 거리로 육성하고자 조성되다. 소설가 이태원을 중심 콘텐츠로 삼은 &apos이태원길&apos에서는 그의 생애를 볼 수 있는 &apos문학관&apos과 그의 소설 &apos객사&apos를 각색한 거리극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거리 활성화를 위한 &apos초청공연&apos,&apos예술장터&apos등을 마련하여 시민들에게 즐거운 경험과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하고자 한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 소개 정보 - 체험안내 : 예술장터 및 초청공연 시즌.. 2022. 9. 1. 대구 북구 - 서계서원 서계서원 - 홈페이지 : http://www.buk.daegu.kr/tour/index.do http://www.cha.go.kr 서계서원 (西溪書院)은 1781년(정조 5)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문화(李文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01년(순조 1) 이주(李輈)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그 뒤 점차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신문(神門), 동·서 협문(夾門), 3칸의 강학당, 1칸의 서고(書庫), 각 3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주사(廚舍)·대문 등이 있다. 사우에는 이문화와 이주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강학당은 화수정(花樹亭.. 2022. 9. 1. 대구 북구 - 읍내동 마애불상 읍내동 마애불상 강암으로 병풍처럼 된 바위에 불상과 함께 좌측에는 탑, 우측에는 관음보살상을 조각해 놓았다.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는 조각된 상태가 분명하지 못하다. 원래 이 곳은 못이었는데 독실한 불교신자가 배를 타고 건너가 이 바위에 부처를 조각했다는 전설이 있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129길 169-3 (읍내동)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3-665-4326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2. 9. 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