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4150

[충청북도 청주시] 선도산 선도산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 청원군 낭성면 현암리, 지산리 한계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한남금북정맥 3구간에 해당한다. 백두대간 종주를 하는 사람 외에는 발길의 흔적이 없어 원시림에 가까운 자연상태가 잘 보존되어 자연학습에 적합하다. 식생은 주로 소나무와 활엽수, 침엽수가 혼합되어 있으나, 그중 활엽수가 많다. 정상에는 산불감시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나무가 울창하고 지형이 험한 편이다. - 높이 : 545.8m(미터) -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 - 관리주체 : 청주시 상당구청 - 관리자전화번호 : 043-201-5114 2020. 12. 22.
[강원도 영월군] 선달산 선달산 소백산맥에 속한 산으로 주위에 매봉산(梅峰山:1,268m), 어래산(御來山:1,064m), 봉황산(鳳凰山:819m) 등이 솟아 있다. 북쪽 비탈면을 흐르는 수계는 옥동천(玉洞川)으로 흘러들고, 남서쪽 비탈면에서 발원하는 수계는 내성천(乃城川)으로 흘러든다. 남서쪽에는 소백산 국립공원이 자리 잡고 있으며, 동남쪽 기슭에는 국민관광지인 오전(梧田)약수가 있다. - 높이 : 1239m(미터) -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내리 - 관리주체 : 영월군청 - 관리자전화번호 : 1577-0545 2020. 12. 22.
[경기도 가평군] 석용산 석용산 한북정맥 지류에 있는 석룡산은 오른쪽으로 화악산, 중봉이 있고 왼쪽으로는 국망봉이 버티고 서 있다. 그 지류를 따라 서남쪽으로 내려서면 민둥산과 강씨봉이 있고 산 능선을 타고 남쪽으로 내려서면 명지산과 연인산으로 이어진다. 능선 코스와 계곡코스를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석룡산은 웅장한 산세에 비해 등산로가 완만하고 산행 내내 폭포와 담소를 흐르는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산행을 즐길 수 있어 여름산행 코스로는 이보다 좋을 순 없다. 석룡산은 돌로 된 용이 있는 산이란 뜻이지만 실상, 산 어디를 가도 용을 닮은 돌은 보기가 어렵다. 그런데도 옛사람들이 이 산을 석룡산이라 했던 이유는 조무락 계곡을 이루고 있는 계곡 전체가 하나의 바위로 이루어져 있고 물길에 잘 다듬어진 모습과 흰 물결 굽이치며 떨어지.. 2020. 12. 18.
[강원도 강릉시] 석병산 석병산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과 정선군 임계면 사이에 솟은 해발 1,055m의 석병산은 백두대간에 있는 산이며 정상부 바로 아래 둥그런 구멍이 뚫린 일월문과 회양목 군락지, 철쭉 군락지 등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는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산이다. 두리봉 동남쪽을 시작으로 산 전체가 돌로 쌓여있어 마치 바위가 병풍을 두른 것 같다고 해서 석병산이라 불린다. 옛날에는 산삼이 많이 자생하고 있어 약초꾼들이 많이 드나들던 곳이기도 하다. 석병산은 석고암으로 형성되어 동굴이 많은 산이기 때문에 범바위골 계곡이 주류인데도 물이 흐르지 않아 특이하다. 정상이 두 개의 흰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상 일대에는 백리향, 참바위취, 구름체꽃 같은 희귀식물들이 꽃을 피우고 있어 봄과 초여름 사이에 아름다운 꽃구경을 할.. 2020. 12. 18.
[경기도 안성시] 서운산 서운산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의 경계에 선 서운산은 아담하고 바위가 거의 없는 유순한 산세를 지녔으며 봄이면 계곡과 능선에 진달래와 철쭉이 군락을 이루는 아름다운 산이다. 서운산에 있는 청룡사는 고려 원종 6년(1265)에 명본 국사가 대장암이라는 이름으로 창건한 절로 공민왕 때 나옹화상이 중건하면서 청룡이 서운을 타고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하여 산 이름은 서운산, 절 이름은 청룡사로 하였다고 한다. 서운산 동북쪽 기슭에는 신라 문무왕 20년(680)에 창건한 석남사가 자리 잡고 있는데 염거국사와 혜거국사 등 이름 높은 스님들이 석남사를 거쳐 갔다. 서운산에서 뻗은 서쪽 능선으로는 삼태기 모양으로 둘러싼 서운산성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이 성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었던 홍계남과 이덕남이 안성.. 2020. 12. 18.
[경기도 가평군] 서리산 서리산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과 가평군 상면 경계를 이루는 서리산(825m)은 한북정맥에서 가지를 쳐 나온 주금산(814m)을 모산으로 하는 산이다. 서리산은 그동안 축령산 유명세에 가려져 있었다. 그러나 10여 년 전부터 축령산자연휴양림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고 주능선에 수천 평 규모의 철쭉군락이 인기를 얻으면서 축령산 못지않게 인기를 끌고 있다. 산세는 주능선 북쪽 사면이 바위벼랑에 가까운 급경사로 이뤄지었지만, 남쪽은 완만한 산세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등산로는 축령산자연휴양림이 있는 남쪽 위주로만 발달해 있다. 들머리인 외방2리에 이르면 북쪽으로 소 한 마리가 드러누운 듯 올려다보이는 산이 서리산이다. 계류 건너로 마주 보이는 능선은 서리산 남서릉이고, 그 끝에서 남서 봉인 화채봉이 보인다. 정상은 .. 2020. 12.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