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4150 [경기도 가평군] 연인산 연인산 연인산은 경기도 제2의 고봉 명지산의 남녘 능선을 잇는 산이다. 가평군 제1의 휴양지인 용추계곡 최상류에 자리하고 있다. 연인산은 우목봉과 월출산으로 불리어왔으나 가평군이 지명을 공모하여 1999년 3월 ‘사랑이 이루어지는 곳’이란 뜻에서 이 산 이름을 연인산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연인산 서남쪽의 전패봉(906봉)은 우정봉, 전패고개는 우정고개, 동남쪽의 879봉은 장수봉으로 고쳤다. 또한, 연인산에서 뻗은 각 능선에 우정, 연인, 장수, 청풍 등의 이름을 붙였다. 연인산은 수도권에서 승용차로 2시간 이내 거리이면서 아름다운 비경과 명소들이 많은 산이다. 그중 제일비경은 용추구곡으로 연인산의 발원지이다. 용추구곡은 연인산의 부드럽고 완만한 지능선을 ‘ㄷ자’ 형태로 감싸고 있다. 연인상 정상에 오르.. 2020. 12. 24.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산 여항산 여항산은 함안의 진산이다. 진산은 보통 삶 터의 북쪽에 자리를 잡는데 여항산은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에 그 허점을 풍수지리의 비보책으로 보완, 산 이름을 물과 관련 있는 여항산으로 지었다고 한다. 이름을 지은이는 1583년(선조 16년) 함주 도호부사로 함안에 부임한 정구(鄭逑)라는 인물이다. ‘여항’이란 산 이름에는 삶 터의 균형을 잡아 평화롭게 살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다. 여항산은 꽃이나 단풍으로 이름난 산은 아니다. 근처에 이름난 관광지가 있어 덤으로 명성을 얻는 산도 아니다. 그저 산과 들판 사이에 솟았다. 그러나 산은 정상 부근의 옹골찬 기세와 능선의 부드러움이 어울려 여느 명산 못지않다. 마치 세상 명리를 뿌리치고 초야에 묻혀 사는 지조 높은 옛 선비 같은 산이다. 여항산 능선.. 2020. 12. 24. [전라남도 진도군] 여귀산 여귀산 진도읍에서 임회면 용호마을에 이르면 단정한 모습의 선녀를 닮은 산이 보인다. 여귀산은 마치 단정하게 차려입은 선녀가 가야금을 타는 형상이라 하여 풍수지리가 들은 옥녀 탄금 형의 산이라고 한다. 여기서 옥녀는 가야금을 타는 선녀를 지칭하는데, 선녀는 곧 귀한 여자이므로 산 이름이 여귀산이 된 거로 추정된다. 여귀산은 두 얼굴을 가진 산이다. 정상은 제법 오르기가 험난한 바위지대로 이뤄지지만 정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흘러내린 지능선들은 부드러운 산세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밖에서 바라본 여귀산은 어느 방향이든 쉽게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막상 산에 들어서면 수림이 빽빽해 기존 등산로를 벗어나서는 산행이 어렵다. 그러나 일단 주능선이나 정상에 오르면 남서쪽으로 시원하게 펼쳐진 다도해 국립공원을 .. 2020. 12. 24.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산 어등산 어등산은 광산구의 중심이 되는 송정의 진산으로 한 말 때 의병과 왜병이 자주 싸웠던 전쟁터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물고기가 비늘을 세우고 올라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는 어등산 자락에는 양씨삼강문, 광산 김씨 효열문, 선암사지 삼층석탑 등의 명소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이곳 어등산과 황룡강이 맞닿는 곳에 있었던 선암장터는 옛날 어등산과 용진산을 근거로 활동했던 항일의병들이 이 시장을 통해 의류, 양고 등 군수물자를 공급받았다고 전해진다. 어등산 남쪽 골짜기 깊숙한 곳에 있는 절골마을에는 연화 약수라는 석간수가 있어 위장병과 성인병에 효험이 뛰어나다고 알려졌다. 남서 방향으로 뻗은 능선은 황룡강을 사이에 두고 복룡산과 마주 보고 있으며 송산유원지로 내려서는 언덕에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이 있.. 2020. 12. 24. [충청북도 청주시] 양성산 양성산 양성산은 문의면의 진산이다. 높지는 않으나 여러 가지 역사유적과 전설을 간직하고 있으며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산이다. 산자락에 규모 큰 문화재단지가 있고 맞은편에는 대통령 별장이었던 청남대도 있다. 산 아래 푸른 대청호가 펼쳐져 있어 조망 또한 좋다. 문의면사무소가 있는 미천리 마을 뒷봉우리다. 산행 들머리인 불당골로 오르는 가장 높은 봉우리다. 따라서 양성산은 주봉과 상봉으로 나누어 부를 필요가 있다. 산행은 상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양성산은 백제 시대 일보산, 신라 시대에는 연산이라 불렸다. 그 뒤에는 양승산, 양성산 등으로 불리며 지금에 이르렀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양성산 안의 일모산성은 474년에 쌓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라 시대 화랑 출신의 화은대사가 양성산을 보고 저 산은 중이.. 2020. 12. 24. [강원도 홍천군] 약수봉 약수봉 그리 높지 않은 데다 명소인 수타사에 근접해 있어 많은 사람이 애용하는 산 중의 하나이다. 수타사에는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를 비롯하여 대적광전, 범종, 후불탱화, 삼층석탑, 홍우당부도 등 수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산새도 그리 험하지 않고 중간중간 나무로 계단식으로 만들어 쉽게 등반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 높이 : 860m(미터) - 소재지 : 강원도 홍천군 동면 신봉리 - 관리주체 : 홍천군청 - 관리자전화번호 : 033-432-7801 2020. 12. 24. 이전 1 ··· 2220 2221 2222 2223 2224 2225 2226 ··· 235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