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4150

[전라남도 보성군] 오봉산 오봉산 보성군 득량면으로 들어서면 도로 왼쪽으로 너른 벌판이 펼쳐지고 그 끄트머리께 우뚝 솟은 산이 두 개 보인다. 예당벌과 오봉산이란 지명이 붙어 있는 산들이다. 이곳 사람들은 왼쪽은 오봉산, 오른쪽은 작은 오봉산이라 부른다. 다섯 개의 위성봉을 거느리고 있는 작은 오봉산은 가까이 가면 정상부 오른쪽에 바위가 삐죽 튀어나와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반면 봉우리가 다섯 개 모여 있는 오봉산은 산 아래 다가설 때까지도 그리 독특하지 못하다. 들녘에 솟은 그저 평범한 야산 정도일 따름이다. 하지만 파고들면 점입가경 신비스럽기 그지없다. 산행 초입 오봉산은 한때 구들장으로 애용되는 돌이 대량으로 추출되었다는 명성에 걸맞게 납작한 돌 천지다. 널찍하게 이어진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멋들어지게 쌓아둔 돌탑이 산 능선.. 2020. 12. 24.
[경상남도 양산시] 오봉산 오봉산 영남알프스는 영축산 염수봉으로 솟구치며 남으로 내리닫다가 양산시 어곡동 어곡리의 매바위 못 미쳐서 두 갈래로 나뉜다. 한가락은 남서로 뻗어 토곡산(855m)을 토한 뒤 낙동강에 첨벙 뛰어들었다. 나머지 한 능선은 동남으로 방향을 잡고는 매바위를 지난 뒤 남쪽을 향하다 화제고개에서 남서로 뒤틀어 오봉산 줄기를 이루고는 살며시 낙동강으로 기어들었다. 토곡산과 오봉산은 마주 보고 있는데 북은 토곡산, 남은 오봉산이고 그 사이에 낙동강에 연한 화제들판이 펼쳐졌다. 오봉산의 남쪽은 양산천을 낀 물금들이고 그 건너편에 금정산이 솟아있다. 물금읍과 원동면 경계를 이룬 오봉산은 말 그대로 5개의 봉우리로 이뤄진 능선이다. 530.8m의 제1봉이 낙동강 바로 동쪽에 자리 잡았고, 그 반대편 북동쪽 강서동 부근 화.. 2020. 12. 24.
[경기도 남양주시] 예봉산 예봉산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과 조안면 경계를 이루는 예봉산(683.2m)은 한북정맥에서 가지를 친 능선 끝머리에 해당하는 산이다. 이 산줄기는 다시 남동쪽으로 이어져 율리봉, 예빈산을 들어 올린 다음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와 한강에서 모두 사그라진다. 팔당역을 기점 삼아 정상에 서면 한강을 가로지르는 팔당대교와 그 너머로 하남시와 강동구를 필두로 한 서울, 북한강과 양수대교, 그리고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와 팔당호가 한눈에 들어온다. 옛날 길손들이 배를 타고 강원도로 떠날 때 마지막으로 삼각산이 보이는 예봉산 아래 팔당에서 임금에게 예(禮)를 갖췄다고 해서 산 이름을 예빈산으로 지었다는 설이 있다. 예봉산은 수도권에서 손꼽히는 근교 산행 코스로 중앙선 팔당역이 개통되면서 주목받고.. 2020. 12. 24.
[전라남도 여수시] 영취산 영취산 여수시 북동쪽 여천 산업단지 부근에 있는 영취산은 옛 문헌에는 439m봉은 영취산으로, 510m봉은 진례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낮은 산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가 30~40년생하는 진달래가 산 중턱에서 정상까지 뒤덮이다시피하는 하는 장관으로 국내 최고의 진달래꽃군락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매년 3월중순~4월 첫째 주에 진달래 축제와 함께 산신제 등이 열린다. - 높이 : 509.7m(미터) - 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 관리주체 : 여수시청 - 관리자전화번호 : 1899-2012 2020. 12. 24.
[경상남도 양산시] 영축산 영축산 지경고개에서 양산 국유림 관리소 앞을 지나 국도로 진행하다 총도황타지아 뒤편 등산로로 진입하여 영축산 정상으로 바로 치고 오르는 비교적 힘든 코스. 중간중간 임도를 가로지르며 오르다 보면 어느새 영축산 정상에 이른다. - 높이 : 1081m(미터) - 소재지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 관리주체 : 양산시청 - 관리자전화번호 : 055-392-2114 2020. 12. 24.
[강원도 태백시] 연화산 연화산 연화산은 낙동정맥이 백두대간과 만나는 태백 한가운데 불끈 솟아 있어 사방을 조망하는데 막힘이 없다. 태백시가 이 산을 중심으로 가락지처럼 형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속에 연화부수형의 명당 연당지가 있고 산의 형상이 연꽃처럼 생겨서 연화산이라 한다. 옛날엔 연화봉이라 불렀는데 최근에 와서 연화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연화산 주봉인 옥녀봉은 옛날 천지가 물바다로 되었을 때 옥녀봉에 옥녀가 피난을 왔고 통리의 유령산 갈미봉에 갈미를 쓴 남자가 피난을 왔는데 나중에 물이 다 빠진 다음 둘이 만나 세상에 사람을 퍼뜨렸다는 전설이 있다. 투구봉은 일명 비녀봉이라 한다. 봉우리가 바위 절벽으로 되어 있으며 그곳에 비녀바위가 있어 비녀봉이라 불렀다. 그런데 장군대좌형국의 뒷산 봉우리인 비녀봉의 바위 절벽.. 2020. 12.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