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흙붉은오름2

제주도 제주시 - 흙붉은오름 흙붉은오름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한라산국립공원내에 제주시 아라동과 조천읍 교래리의 경계에 위치한 오름으로, 한라산 백록담을 중심으로 동부 산록상에서는 가장 높고, 한라산 정상에 가장 가까운 오름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화구 방향에 속칭 숫오름이라 불리는 돌오름이 마주해 있다. 화구의 잔디로 된 사면에는 시로미, 그 아래로 구상나무 등 고산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오름 등성마루에서는 흰진달래 자생목이 발견된 바 있다. 돌오름(숫오름)과 비교하여 옥문형이라 일컬어지는 말굽형화구 깊숙한 곳에는 샘이 있는데, 이 샘은 기생화산 화구내의 샘으로서는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해 있는 샘이다. ※ 오름명의 유래오름의 흙이 매우 붉음.. 2022. 12. 7.
제주도 제주시 관광지 목록 - 만장굴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용두암, 추자도, 협재해변, 제주절물자연휴양림, 한라산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우도(해양도립공원), 비양도, 이호테우해변, 거문.. 만장굴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 세계자연유산 제주 http://www.jeju.go.kr/jejuwnh/heritage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위치하는 만장굴은 전체길이 약 7,400 m, 최대 높이 약 25 m, 최대 폭 약 18 m로서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한 부분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황상구 외, 2005)에 속하는 용암동굴이다. 특히 주 통로는 폭이 18m, 높이가 23m에 이르는 세계적으로도 큰 규모의 동굴이다. 전 세계에는 많은 용암동굴이 분포하지만 만장굴과 같이 수십만 년 전에 형성된 동굴로서내부의 형태와 지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용암동굴은 드물어서 학술적, 보전적 가치가 매우 크다. 만장굴은 동굴 중간 부분의 천장이 함몰되어 3개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일반인이 출입할 .. 2022. 5.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