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평창군155 강원도 평창군 - 월정사 적멸보궁 월정사 적멸보궁 적멸보궁은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한 곳이다. 적멸보궁은 모든 바깥 경계에 마음의 흔들림이 없고 번뇌가 없는 보배스런 궁전이라는 뜻이다. 욕심과 성냄, 어리석음이 없으니 괴로울 것이 없는 부처님의 경지를 나타낸다.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어 법당 안에는 따로 부처님상을 조성하지 않고 불단만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적멸보궁은 비로봉에서 흘러내린 산맥들이 주위를 병풍처럼 둘러싼 중앙에 우뚝 솟아 있는 바, 나는 용(龍)이 여의주(如意珠)를 희롱하는 형국(形局)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 명당으로 많은 사람들의 동경의 대상이기도 하였다.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92 동산리 산1 ※ 소개 정보 - 체험안내 : 없음 - 문의 및 안내 033-330-2.. 2023. 1. 10. 강원도 평창군 - 월정사부도군 월정사부도군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이 부도밭은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가는 길의 전나무 숲속에 자리하고 있는데, 모두 22기에 이르는 부도들이 흩어져 있다. 크기는 1~2m 내외의 그리 높지않은 체구로,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 세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운공성관(雲空性觀), 금성당(金聖堂) 등의 호를 가진 승려들의 사리를 모시고 있는 이 부도들은 낮은 받침위로 종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모습들이 대부분이나, 2층 기단(基壇)과 지붕돌을 갖춘 부도의 모습도 간혹 눈에 띈다.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92 동산리 산1 ※ 소개 정보 - 체험안내 : 없음 - 문의 및 안내 033-330-6800 - 주차시설 : 없음 - 쉬는날 : 연중무휴 - 이용.. 2023. 1. 10. 강원도 평창군 - 고랭지만두체험.휴양마을 고랭지만두체험.휴양마을 - 홈페이지 : https://cafe.daum.net/Chahang/jM19 청정지역인 해비 700 평창 중에서도 2018년 동게올림픽 개막식을 치룬 대관령지역에 위치한다. 고랭지채소, 씨감자 생산지이다. 맑은 공기와 푸르름, 겨울이면 하얀 눈 속에서 몸과 마을을 쉬고 건강한 먹거리로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다. 영동고속도로 횡계 IC에서 3분, 수도권으로부터 2시간 30분, 강릉까지는 20분, Ktx진부역과 10분거리로 접근성이 좋다.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갈골길 33-5 ※ 소개 정보 - 수용인원 : 체험실 60명 - 체험가능 연령 : 연령제한 없음 - 체험안내 : 황태구이, 배추만두,적김치, 백김치 - 문의 및 안내 033-335-6042 - 주차시설 : 소형.. 2023. 1. 10. 강원도 평창군 - 평창 어름치마을 평창 어름치마을 - 홈페이지 : 어름치마을 http://www.mahari.kr/ 와우미탄 https://wowmitan.modoo.at/ 천연기념물 어름치가 서식하고 있는 청정자연 속의 어름치 마을은 굽이쳐 흐르는 동강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계곡과 산의 경치가 수려한 곳이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래프팅, 카약, 스카이라인 등 다양한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석회동굴인 천연기념물 백룡동굴에서 기이한 형태의 종유석, 석순, 석주를 감상할 수도 있다. 칠족령 트래킹 코스는 굽이치는 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들여 꼭 가 볼 만하다. 어름치마을의 다양한 체험거리는 전화(033-332-1260) 또는 홈페이지(https://wowmitan.modoo.at/?link=6cafoz3e)에.. 2023. 1. 10. 강원도 평창군 - 평창 수항리사지 평창 수항리사지 오랫동안 ‘수항리절터’로만 알려져 오다, 1983년 ‘태백곡수다사(太伯谷水多事)’ 등의 명순기와 등이 출토되어, 이곳이 삼국유사에 기록된 수다사지(水多寺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문헌상으로는 “세종실록지리지”가 완성된 조선 단종 2년(1432년)까지 나타나다가 “동국여지승람”부터는 기록이 보이지 않는 점으로 보아 약 15세기까지는 존속했던 사찰로 추정된다. 유적(遺蹟)으로는 부재(部材) 일부가 결손되어 원형을 찾아볼 수 없는 석탑 1기와 건물지(建物址)의 주초석(柱礎石)이 남아 있다. “조선보물조사 연구”에 의하면 이곳에 삼층석탑 1기(基), 석불입상(石佛立像) 2구(軀), 석불좌상(石佛坐像) 1구, 당간지주(幢竿支柱) 1기와 탑의 석조물이 있었으나 6.25 때 유실(流失)되었다고 한다... 2023. 1. 10. 강원도 평창군 - 용다사동종 용다사동종 이 동종은 조선시대의 종 중에서도 극히 퇴락한 형식으로 양식적으로는 대수롭지 않지만 1787년(정조 11) 화천 용화산 용다사에서처음 주성되었다는 소위 원명과 1878년(고종 15) 양구 심곡사에 시주되었다는 추명이 있지만, 원주 구룡사에서 보관해 오던 동종이다. 이 시기에 한글 명문이 새겨진 종이 드물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1977년부터 강원도향토박물관에서 전시되다가 1999년 9월 월정사로 옮겨져 현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종의 정상부에는 한 몸체에 용머리가 서로 반대쪽으로 있는 오메가(Ω)형[一體雙頭形]의 용뉴가 있다. 천판(天板)은 반구형(半球形)으로 종신(鐘身)과의 사이에는 한 줄의 띠를 돌려 구분하고 있는데, 용뉴를 중심으로 연꽃무늬를 조잡하게 돋을새김(陽刻)하였다. .. 2023. 1. 1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