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충청북도 제천시137

충청북도 제천시 - 덕동생태숲 덕동생태숲 - 홈페이지 : 제천 문화관광 https://www.chungbuk.go.kr/forest/index.do 덕동 생태숲은 천연림이 잘 보존되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전형적인 농,산촌 마을로 동,식물자원이 풍부한 제천 백운산(해발 1,087m)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국민 누구나 즐겨 찾을 수 있는 휴양 공간을 조성하고 청소년,학생들의 체험 학습장으로 활용코자 덕동 생태숲을 조성하였다. 비지터센타, 관리동, 산촌집, 숯가마, 전망대 등 편의시설을 고루 갖추고 있다. 백운산, 구학산, 시랑산, 십자봉 등 능선이 마치 성곽처럼 둘러쳐져 있는 곳이다. 연중 수많은 피서객과 등산객들이 즐겨 찾는 장소이다. 가까운 곳에 배론성지와 탁사정, 박달재 등 가볼만한 곳이 많이 있다. - 주소 : 충청북.. 2022. 9. 28.
충청북도 제천시 - 제천 자양영당 제천 자양영당 - 홈페이지 : http://tour.jecheon.go.kr http://www.cha.go.kr 공전마을에는 구한말 의병의 창의지 자양영당이 자리하고 있다. 조선시대 말, 1906년(고종 43) 유림에서 창건한 서당이다. 처음에는 주자와 송시열, 이화서, 유중교의 영정을 봉안했다. 뒤에 의병장인 유인석, 이직신의 영정을 추가로 봉안하여 춘추로 제향을 올리고 있다. 원래 이곳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유중교가 1889년(고종 26)에 세운 창주정사가 있던 자리이다. 유중교는 본관은 고흥, 자는 치정, 호는 성재이다. 의암 유인석장군의 “8도에 고함“ 창의지이기도 하지만 구한말 모든 의병창의 기폭제였던 명실공이 의병의 성지로서 많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어 학생들의 교육장소이기도 하다. - 주소.. 2022. 9. 23.
충청북도 제천시 -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덕주사 마애불)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덕주사 마애불) - 홈페이지 : http://tour.jecheon.go.kr http://www.cha.go.kr 덕주사는 신라의 마지막 왕자인 마의태자의 누이인 덕주공주가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사찰 내 거대한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높이는 무려 13m나 되는데 얼굴부분은 도드라지게 튀어나온데 비해 신체는 선으로만 새겼다. 과장된 얼굴의 표현은 고려시대의 거대한 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법이다. 선으로 조각한 몸부분은 인체의 조형적 특징을 살리지 않고 왜곡한 표현법이 보인다. 고려 초기의 거대한 불상 조성 추세에 힘입어 만든 것으로 보인다. 살찐 얼굴과 하체로 내려갈수록 간략해진 조형수법과 평면적인 신체는 당시 불상의 주된 특징이다. 덕주사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불교문화재.. 2022. 9. 23.
충청북도 제천시 - 박약재 박약재 - 홈페이지 : http://tour.jecheon.go.kr http://www.chungbuknadri.net http://www.cha.go.kr 제천 시내에 있는 전통가옥으로 진주강씨 문중에서 자녀 교육을 목적으로 조선 중기에 세운 이다. 정묘호란 때 척화를 상소한 상곡 강유(1597~1668)가 수학한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집이다. 중앙은 대청마루가 있고 왼쪽에 방 2개, 오른쪽에 방 1개, 그리고 툇마루를 두고 있다. 현판문은 조선 후기의 학자 유인석의 친필이다. 1907년 강순조, 박정수, 이화중 등이 호서의병장 운강 이강년의 전투사인 《운강창의일록》을 이곳에서 편찬했다. 오랜 역사를 가진 건물이지만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근처에 가볼만한 곳으로는 제천의병전.. 2022. 9. 22.
충청북도 제천시 - 제천 엽연초생산조합 구사옥 제천 엽연초생산조합 구사옥 - 홈페이지 : http://tour.jecheon.go.kr http://www.chungbuknadri.net http://www.cha.go.kr 충청북도 제천시 명동에 있는 제천엽연초생산조합의 옛 사옥이다. 2003년 9월 27일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18년 제천엽연초경작조합 설립 당시 사옥으로 지은 목조건축물로 아치형 현관 등에서 근대적인 분위기가 느껴진다. 현관 위쪽 창호는 기하학 무늬가 특이하고 외부 장식과 평면 구성 등이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였던 근대화 시기의 과도기적인 건축양식과 업무 시설의 특징을 잘 알 수 있다. 근처에 같은 시기이 지어진 제천연엽초수납취급소가 있다. - 주소 :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2길 8 ※ 소개 정보 -.. 2022. 9. 22.
충청북도 제천시 -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 홈페이지 : http://tour.okjc.net http://www.cha.go.kr 제천시내에 있는 모전석탑이다. 돌을 벽돌처럼 잘라서 7층으로 쌓은 형태이다. 1층 탑신에는 화강석을 끼워 넣었으며 벽돌탑의 형태지만 석탑의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기단은 여러 개의 자연석으로 짜서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점판암을 벽돌과 같이 잘게 끊어서 꼭대기까지 쌓아 올렸다. 1층탑신에는 남북면에 내부로 통하는 감실을 내어 놓았는데 여기에 문틀과 두짝의 돌문을 달았다. 감실의 네 귀에 세운 귀기둥을 화강석을 끼워 맞춘 것으로 다른 모전석탑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방식이다. 모전석탑과 석탑의 양식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는 특이한 형태의 탑이다. 근처에 가볼만한 곳으로는 제천향교와 .. 2022. 9.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