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충청북도 괴산군91

[충청북도 괴산군] 새들펜션캠핑장 새들펜션캠핑장 - 주소 :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 - 전화 : 043-834-0405 - 홈페이지 : 바로가기 - 예약 구분 : 전화 - 민간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업종 : 자동차야영장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3. 3. 6.
[충청북도 괴산군] 물소리풍경 캠핑장 - 쌍곡계곡을 배경으로 펼쳐진 일반캠핑장 물소리풍경 캠핑장 물소리풍경 캠핑장은 충북 괴산군 칠성면에 자리 잡고 있다. 괴산군청을 기점으로 약 14㎞ 떨어졌으며, 자동차를 타고 임꺽정로와 쌍곡로를 차례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15분가량이다. 이곳은 괴산의 대표 관광지 가운데 하나인 쌍곡계곡에 터를 잡았다. 이 덕분에 여름이면 물놀이와 캠핑을 동시에 즐기고자 캠핑장을 찾는 이들이 수두룩하다. 캠핑장도 인기지만, 피서 시즌이면 계곡 바로 앞에 마련한 평상을 대여하고 있어 당일 여행객이 많다. 캠핑장은 파쇄석으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20면을 갖췄고, 사이트 크기는 가로 6m 세로 7m다. 예약은 전화로만 가능하며, 매년 11월부터 3월까지 휴장이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입장은 허용하지 않는다. 캠핑장 자체가 쌍곡계곡에 있으며, 주변.. 2023. 3. 6.
[충청북도 괴산군] 도레미 캠핑장 - 폐교를 리모델링한 감성적인 캠핑장 도레미 캠핑장 도레미 캠핑장은 충북 괴산군 불정면에 위치했다. 괴산군청을 기점으로 약 6㎞ 떨어졌으며, 자동차를 타고 임꺽정로와 관동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10분 안팎이다. 폐교를 리모델링해 일반 캠핑장을 조성한 이곳은 감성적인 캠핑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옛 초등학교의 흔적을 여기저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덕분이다. 파쇄석으로 이뤄진 일반 캠핑장 78면을 마련했으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6.5.m 세로 9m다. 사계절 내내 쉬지 않고 운영하며, 예약은 온라인 실시간으로 받는다. 곳곳에 식재한 수목 덕분에 한여름에 캠핑을 즐기기에도 무리가 없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입장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 가운데 하나다. 어린이를 위한 놀이시설도 알차게 마련했다. 캠핑장 인근에 산막이옛길.. 2023. 3. 6.
[충청북도 괴산군] GO(지오)글램핑 GO(지오)글램핑 - 주소 : 충북 괴산군 청천면 대티길 284 - 전화 : 0507-1427-0350 - 홈페이지 : 바로가기 - 민간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운영기간 : 봄,여름,가을,겨울 - 운영일 : 평일+주말 - 업종 : 일반야영장 - 화로대 : 개별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3. 3. 6.
충청북도 괴산군 - 괴산 미륵산성 괴산 미륵산성 - 홈페이지 : http://www.goesan.go.kr/tour/index.do http://www.cha.go.kr 청천 미륵산성은 낙영산과 도명산의 정상을 각각 남북으로하고 천연의 암벽을 이용하여 축조한 전체둘레 5.1km, 외성을 합한 석축만도 3.7km에 달하는 거대한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서쪽으로 난 계곡에 수문과 서문을 내고, 서문의 바깥 좌우의 기슭에 외성을 축조하여 계곡방면을 공제하고 있으며 성의 동문은 화양동계곡 쪽에, 남문은 사담계곡 쪽에 시설되었다. 성벽의 축조는 자연할석으로 쐐기돌을 많이 사용하여 쌓고, 내면으로는 2-3단의 계단모양으로 쌓아 고려후기에서 조선시대로 이어지는 축조기술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성벽의 요소마다 네모꼴의 망대를 만들고 있으며, 자연암.. 2023. 1. 18.
충청북도 괴산군 - 김시민장군 충민사 김시민장군 충민사 - 홈페이지 : http://www.goesan.go.kr/tour/index.do http://www.cha.go.kr 김시민장군 충민사는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운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과 문숙공(文肅公) 김제갑(金悌甲)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면오(勉吾), 본관은 안동으로 선조 11년(1578)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24년(1591) 진주판관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진주목사로 사천, 고성, 진해에서 적을 격파하고 영남우도병마절도사에 올랐다. 그 후 진주성 싸움에서 적을 격퇴하다가 전사하였다. 선조 37년 (1604) 선무공신 2등에 추록되고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김시민은 진주 충렬사에 제향되었으나 고종.. 2023. 1.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