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라남도 화순군31

[전라남도 화순군] 도원야영장 도원야영장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에서 조성한 무등산권 최초의 자연친화적 야영장으로서 무등산 도원계곡과 인접한 동쪽 자락에 위치하여 무등산을 조망하며 조용히 힐링할 수 있으며, 일회용품 쓰레기 줄이기 및 음식물 쓰레기 배출 감소를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친환경 야영문화 정착을 선도하고 있다. - 주소 : 전남 화순군 이서면 도원길 80-30 - 전화 : 061-374-1197 - 홈페이지 : 바로가기 - 예약 페이지 : 바로가기 - 예약 구분 : 온라인실시간예약 - 국립공원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여행시기 : 봄,가을 - 운영기간 : 봄,여름,가을,겨울 - 운영일 : 평일+주말 - 특징 : * 일반야영장 이 외에 산막시설 13동 * 산막텐트 이용자에 한하여 취사도구세트 대여.. 2022. 11. 17.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 고인돌 오토캠핑장 화순 고인돌 오토캠핑장 - 주소 : 전남 화순군 도곡면 고인돌1로 139 - 운영기간 : 봄,여름,가을,겨울 - 운영일 : 평일+주말 - 업종 : 자동차야영장 - 화로대 : 개별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2. 11. 10.
전라남도 화순군 - 유마사 유마사 - 홈페이지 : http://www.yumasa.com 유마사는 시원 계곡과 울창한 수림에 둘러싸여 있다.유마사는 당나라에서 건너온 유마운과 그의 딸 보안이 창건했다. 전설에 따르면 보안 처녀와 그를 겁탈하려는 젊은승 사이에 한판 승부가 벌어졌는데 보안이 제월천에 잠긴 달을 건져 젊은승을 굴복시켰다고 한다. 그리고 보안 처녀가 치마에 바위를 싸다가 놓았다고 한다.홍건적의 침입을 피해 숨어 들었다는 공민왕의 이야기도 전해온다. 시원한 물소리를 내며흐르는 계곡에 발 담그고 옛 사람들이 즐기던 탁주를 음미해 볼 수 있는 곳이 모후산이다. 유마사의 단풍과 해련부도 주변의 풍광은 특히 가을에 아름답다. * 해련부도(보물) 고려 초기 부도의 전형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중석 받침의 복련은 각각의 모서리마다귀.. 2022. 10. 25.
전라남도 화순군 - 모후산 모후산 - 홈페이지 : 화순 문화관광 http://www.hwasun.go.kr/culture/index.do?S=S09 호남정맥의 중간 지점인 무등산 북쪽에서 동남쪽으로 지맥이 흘러가다가 솟은 산이 모후산(918.8m)으로 본디 이름은 나복산이다. 고려 공민왕 이후 산명이 모후산으로 변경되었다. 왕이 왕비와 함께 홍건적의 난을 피한산이라는 뜻에서이다. 화순군과 순천시의 경계에 있으며, 광주 무등산(1,186.8m)과 순천시 조계산의 그늘에 가려 잘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유마사, 화순물염적벽, 주암호, 사평폭포 등의 명소가 곳곳에 있고, 항상 맑은 계곡물이 넘쳐 관광객과 등산객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산에는 조릿대가 많이 자라고 있어 겨울철에도 푸른 빛을 잃지 않는다. - 주소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 2022. 10. 25.
전라남도 화순군 - 옹성산 옹성산 - 홈페이지 : 화순 문화관광 http://www.hwasun.go.kr/tour/index.do?S=S09 화순 옹성산(572m)은 산 전체가 온통 항아리 모양의 옹기처럼 생겼다 하여 옹성산(甕城山)이라 불려지며, 고려시대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성한 철옹산성이 정상 산자락을 휘어 감고있다. 담양 화순간 15번 국도 상의 독재에서 능선을 따라 오르는 길이 있으며 안성리 신성마을이나 몽성암 부근에서도 오를 수 있다. - 주소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일대 ※ 소개 정보 - 체험가능 연령 : 전연령 - 문의 및 안내 화순군 관광진흥과 061-379-3506 - 주차시설 : 주차가능(신성마을) - 쉬는날 : 연중개방 - 이용시간 00:00~24:00 - 입 장 료 : 무료 본 저작물은.. 2022. 10. 25.
전라남도 화순군 - 대리칠충각 대리칠충각 - 홈페이지 : http://www.hwasun.go.kr/index.do? S=S09 화순읍 대리에 있는 칠충각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때 화순에서 의거한 평택 임씨 칠종 형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고종 13년(1876)에 건립한 것이다. 병자호란 때 의거한 인물은 임시계, 임시태, 임시민, 임시운, 임시준, 임시익, 임시약 등으로, 이들 종형제는 화순의병과 함께 청주까지 진군하였으나, 인조임금이 청의 태종에게 항복한 소식을 듣고 국가에 충성하지 못함을 통탄하고 귀향하여 은거생활을 하다가 일생을 마치니 고종 13년 (1876)에 이들의 충성을 높이 치하하여 벼슬을 추증하였는데, 임시계에게 예조참의(정삼품), 임시태에게 좌승지, 임시민에게 예조참의, 임시운에게 호조참의, 임시준에게 좌.. 2022. 10.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