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라남도 여수시55

전라남도 여수시 - 외동어촌체험마을 외동어촌체험마을 - 홈페이지 : http://oedong.seantour.com 대경도는 여수항에서 남쪽으로 약 0.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이다. 섬은 크게 외동, 내동, 오복 등 3개의 거주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크기는 약 2.33㎢이다. 외동마을의 펜션은 바다 한 가운데 떠 있는 방갈로 형식이다. 때문에 바다낚시를 즐기는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섬은 외동과 내동, 오복 등 3개의 거주지로 나뉘어 있다. 면적은 2.33㎢이며 170여 가구 중에 70가구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섬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여수시 국동의 대경도 선착장에서 선박을 이용해야 한다. 내비게이션을 이용할 경우 ‘대경도 선착장’이 아니라 ‘대경도 대합실’로 검색해야 한다.대경도에 도착 후 직진하면 작은 언덕을 만나고.. 2022. 9. 20.
전라남도 여수시 - 여수 충민사 여수 충민사 - 홈페이지 : http://tour.yeosu.go.kr/ http://www.cha.go.kr 충민사는 마래산(385.2m)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선조 34년(1601) 체찰사 이항복(1556~1618) 이 왕명을 받아 임진왜란이 끝난 뒤의 민심을 살펴본 후 통제사 이시언(?~1624)에게 명하여 건립한 것이다. 충민사를 세우자 우부승지 김상용이 임금께 이 사우(祠宇)의 이름을 지어달라고 간청하여 선조가 직접 이름을 짓고 그것을 새긴 현판을 받음으로써 이충무공과 관련된 최초의 사당이 되었는데, 함께 충무공을 기리는 통영의 충열사보다는 62년, 숙종 30년(1704)에 세워진 아산의 현충사보다는 103년 전의 일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여러 사람들 가운데 가장 먼저 제사를 모시는 분.. 2022. 9. 19.
전라남도 여수시 - 여수향교 여수향교 - 홈페이지 : http://tour.yeosu.go.kr http://www.cha.go.kr 1897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50년에 중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을 비롯하여 명륜당·내삼문·풍화루(風化樓)·서재(書齋)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이 향교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 2022. 9. 19.
[전라남도 여수시] 하얀바다 캠핑장 하얀바다 캠핑장 - 주소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돌산로 649-12 - 예약 구분 : 전화 - 민간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업종 : 일반야영장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2. 8. 9.
[전라남도 여수시] The Star 오토캠핑장 - 낭만적인 여수밤바다 전망 포인트 No.1. TheStar 오토캠핑장 The Star 오토캠핑장 여수시 돌산읍에 위치한 TheStar 오토캠핑장은 여수만이 내려다보이는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캠핑장으로, 낮에는 여수만의 푸른바다를 보며 바쁜 일상 속 쉼을 얻어갈 수 있고, 밤에는 아름다운 밤바다와 호수에 정박 중인 선박의 불빛을 보며 감성적인 밤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낚시 포인트에서는 깨끗한 여수바다의 물고기가 황금어장을 이룬다. 이곳은 2,020평 규모에 일반야영장 9면, 오토캠핑장 19면, 카라반 2대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사이트는 데크로 구성되어 있다. 깨끗하고 쾌적한 각종 편의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캠핑을 편안히 즐길 수 있다. 반려동물 출입이 가능하지만 동행할 경우 사전 예약 시 반드시 고지해야 한다. 한편, TheStar 오토캠핑장은 돌산공원, 여수해상케이.. 2022. 8. 4.
전라남도 여수시 - 여수 타루비 여수 타루비 - 홈페이지 : http://tour.yeosu.go.kr http://www.cha.go.kr 조선 중기의 명장인 이순신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이다. ‘타루(墮淚)’란 눈물을 흘린다는 뜻으로, 중국의 양양 사람들이 양호(羊祜)를 생각하면서 비석을 바라보면, 반드시 눈물을 흘리게 된다는 고사성어에서 인용하였다. 비의 형태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받침돌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머릿돌에는 구름무늬로 가득 채워져 있으며,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큼직하게 솟아있다. 비문은 ‘타루비’라는 비의 명칭을 앞면에 크게 새기고, 그 아래로 명칭을 붙이게 된 연유와 비를 세운 시기 등을 적고 있다. 이순신 장군이 세상을 떠.. 2022. 5.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