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라남도 나주시25

전라남도 나주시 - 나빌레라 문화센터 나빌레라 문화센터나를 위한 문화 휴식 공간 일제 폐산업시설이 나주 나빌레라 문화센터로 재탄생했다. 나빌레라 문화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폐 산업시설 문화재생 공모사업어 선정되어 지역민을 위한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하면서 2017년도 10월에 개관했다. 기존 건물 6동에 전시실 및 소극장 등 문화예술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조성했다. 또한, 목수김씨전, 대한민국 천연염색문화상품대전 수상작 전시 등 다양한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 나주 구도심과 혁신도시를 이어 스마트 생태도시를 구현해줄 나빌레라 문화센터의 변화를 기대해본다. -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천1길 93 (금성동) ※ 소개 정보 - 체험가능 연령 : 누구나 - 체험안내 : 상설 전시, 나주의 옛모습 영상 관람, 나주 문화놀이터 공예품 - 문의 및.. 2022. 10. 25.
전라남도 나주시 - 남평역(나주) 남평역(나주) - 홈페이지 : http://www.naju.go.kr/tour http://www.cha.go.kr 1930년 12월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48년 5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1950년 여순반란 사건으로 역은 소실되어 1956년 7월 신축되었다. 남평역은 광장 쪽이 건물의 후면으로 입면이 비교적 단순하며, 철로 쪽이 전면이다. 남평역은 역무실 돌출부분의 지붕이 맞배가 아니라 모임지붕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이레적인 형태이다. 대합실 위의 박공지붕과 건물의 장방향과 교차되는 박공, 역무실 앞부분의 돌출공간을 덧씌우고 있는 지붕, 그리고 대힙실 앞의 길다란 차양지붕이 건물형태를 뚜렷이 유지하고 있다. -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동촌로 313 ※ 소개 정보 - 문의 및.. 2022. 10. 25.
전라남도 나주시 - 정열사비 정열사비 - 홈페이지 : http://www.naju.go.kr/tour http://www.cha.go.kr * 김천일 선생과 나주의 충절을 모신 사당, 정열사 * 정열사는 임진왜란 때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 선생을 비롯한 나주의 충절 인물 다섯 분을 모신 사우이다. 정열사가 최초로 건립된 것은 선조 39년(1606년)으로서 현 나주고교 뒷편 월정봉 아래에 위치했다가 이듬해인 1607년 정열사로 사액되면서 사우를 현 나주잠사공장 부근으로 옮겼다. 이후에도 여러 번 자리를 옮기고 보수를 거치면서 1984년 현재의 대호동 위치에 자리잡게 되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 반의 규모로서 팔작지붕이고, 내삼문과 외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 평대문이다. 정열사비는 인조 4년(1626년.. 2022. 10. 25.
[전라남도 나주시] 국립나주박물관 야외체험장 국립나주박물관 야외체험장 -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277 - 전화 : 061-330-7804 - 홈페이지 : 바로가기 - 예약 구분 : 전화 - 지자체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업종 : 일반야영장 - 부대시설 : 놀이터,운동장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2. 10. 21.
전라남도 나주시 - 남평향교 남평향교 - 홈페이지 : http://www.naju.go.kr/tour http://www.cha.go.kr 1420년(세종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남평현 동문(東門) 밖에 창건되었다. 그 뒤 1534년(중종 29)에 남일리(南一里) 자고개[尺峴]로 이건하였다가 1545년(인종 1)에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1600년 성균관과 남평현민들이 협조하여 지금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1695년·1745년·1793년·1835년·1855년에 각각 중수하고, 1921년과 1978년에 크게 보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흥학당(興學堂)·양사재(養士齋)·사마재(司馬齋)·제기고(祭器庫)·고직사(庫直舍.. 2022. 9. 19.
전라남도 나주시 - 설재서원 설재서원 - 홈페이지 : http://www.naju.go.kr/tour http://www.cha.go.kr 1688년(숙종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가신(鄭可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기 위해 노안면 금안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3년(숙종 19)에 정식(鄭軾)을 추가배향하고 1723년(경종 3)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725년(영조 1)에 신장(申檣), 1756년(영조 32)에 정담(鄭湛)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향사(享祀)만 중지되고 건물은 훼철되지 않았으며, 1953년부터 다시 향사를 지내고 있다. 1953년에 정상(鄭詳)·정여린(鄭如麟)·정란(鄭瀾)을 추가배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2022. 9.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