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익산제석사지2

전라북도 익산시 - 익산제석사지 익산제석사지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 http://www.cha.go.kr/ 이 터는 백제시대의 사찰인 제석사가 있던 곳이다. 제석사지는 무왕대의 익산 천도설을 밝혀 줄 수 있는 왕궁리 유적과 관련이 있는 절터이다. 관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期)에 따르면, 제석사는 백제 무왕대에 창건된 사찰로서, 무왕 40년(639)에 벼락으로 불타버렸으나, 탑 아래 넣어두었던 불사리와 금강반야격을 얻었던 칠함이 보존되어 다시 사찰을 짓고 안치하였다 한다. 1993년 일부지역을 조사한 결과 목탑터, 금당터, 강당터 등의 기단이 확인되었으며, 「제석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암막새 기와가 출토됐다. 비록 터만 남았지만, 이 곳은 몇개 남지 않은 백제절터의 하나로 귀중한 자료가 된다. - .. 2022. 12. 2.
전라북도 익산시 관광지 목록 - 이병기선생 생가, 서동공원, 여산숲정이순교성지, 함벽정, 익산 미륵사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망모당, 익산제석사지, 백지사터, 여.. 이병기선생 생가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 이병기선생 생가 * 이 집은 국문학자이며 시조 작가인 가람 이병기 선생이 태어나 살던 곳이다. 조선 말기 선비의 가옥 배치를 따르고 있는데 안채, 사랑채, 헛간, 고방채, 정자등이 남아 있다. 소박한 안채와 사랑채 안담한 정자와 연못에서 선비 가옥의 면모를 잘 살필 수 있다. 슬기를 감추고 겉으로 어리것은체 한다는 뜻을 간직한 '수우재(守愚齋)'라는 사랑채 이름에서, 조국과 민족을 사랑하며 평생을 지조 있는 선비로 살아온 그의 풍취가 은은하게 느껴진다.가람선생은 우리 한글의 소중함을 깊이 인식하여 일찍이 1930년대부터 조선어문연구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으며, 1930년에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 2022. 2.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