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의열사(부여)2

충청남도 부여군 - 의열사(부여) 의열사(부여) - 홈페이지 : http://tour.buyeo.go.kr http://www.cha.go.kr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575년(선조 8)에 부여 현감 홍가신(洪可臣:1541∼1615)이 건립하였다. 백제 때 충신 성충(成忠)· 흥수(興首)·계백(階伯), 고려 말기의 충신 이존오(李存吾:1341∼1371)의 충의가 후세에 전하여지지 않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지었다고 한다. 1577년에 사액되었고, 1641년(인조 19)과 1675년(숙종 1)에 각각 중수되었다. 그뒤 조선 선조 때의 지사인 정택뢰(鄭澤雷), 인조 때의 문신 황일호(黃一皓:1588∼1641)도 함께 배향되었다. 1866년(고종 3)에 철폐되었다가 그뒤 복원되었다. 원래는 용정리 망월산(望月山).. 2022. 11. 22.
충청남도 부여군 관광지 목록 -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서동공원과 궁남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유네스코 세계유산], 만수산자연휴양림, 백제문화단지, 낙화암, 고..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 홈페이지 : http://tour.buyeo.go.kr/ \nhttp://www.cha.go.kr * 백제 문화의 보고, 부소산과 부소산성 부여에 들어서면 시가지 북쪽에 검푸른 숲을 이룬 해발 106m 의 나지막한 부소산이 제일 먼저 눈에 들어 온다. 부여의 진산인 부소산에는 수많은 백제 여인들이 꽃잎처럼 떨어져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낙화암, 백화정, 사자루, 반월루, 궁녀사, 고란사, 부소산성(사적), 해맞이하는 영일루, 성충ㆍ흥수ㆍ계백의 백제 충신을 모신 삼충사, 곡식 창고터였던 군창지, 백제 군인의 움집 수혈병영지 발길 닿는 곳마다 발걸음을 붙잡는 토성들, 백제의 역사와 백제왕실의 이야기가 곳곳에 배어 있다. 금강의 남안에 있는 부소산의 산정을 중심으로.. 2022. 4.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