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주시48 경상북도 영주시 - 방산서원 방산서원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1633년(인조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전희철(全希哲)·전익희(全益禧)·전명룡(全命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938년에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경절사(景節祠), 6칸의 망일당(望日堂), 10칸의 휴계재(休溪齋), 주소(廚所) 등으로 되어 있다. 사우(祠宇)인 경절사에는 전희철을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전익희와 전명룡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강당인 망일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 강론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 주.. 2022. 9. 15. 경상북도 영주시 - 덕산서원(영주) 덕산서원(영주) - 홈페이지 : http://www.yeongju.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덕산서원은 갑오년 동학란 무렵 금릉, 선산, 유림의 동의를 얻어 덕산서원을 창건키로 결의를 하여 창건중 동학란으로 인하여(갑오년) 피란해 현재위치로 이전하였음. 을묘년(1975년 3월) 영주 봉화 유림의 동의를 얻어 창건하였음. -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감산길46번길 13-5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4-859-6656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 2022. 9. 15.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시 소백산역 캠핑장 영주시 소백산역 캠핑장 -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215-1 - 예약 구분 : 현장 - 국립공원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업종 : 일반야영장 - 애완동물출입 : 불가능 2022. 8. 9. 경상북도 영주시 - 성혈사(영주) 성혈사(영주)성혈사(聖穴寺)는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덕현리 277번지 소백산(小白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다. 성혈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고찰이다. 역사에 관련된 기록이 거의 없어 연혁이 자세히 전하지는 않지만, 현재 성혈사에 전하는 비로자나불좌상으로 볼 때 적어도 9세기에는 법등을 밝히고 있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나한전에는 매우 우수한 기법으로 조각된 조선시대의 나한상이 봉안되어 있어 성혈사가 예로부터 나한 신앙 도량이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또한 나한전 역시 조선시대 중기에 지은 건물인데, 건축기법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출입문에 새겨진 정교하고 아름다운 무늬는 사찰 문 장식품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가운데 하나로 꼽힐 정도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2022. 8. 2. 경상북도 영주시 - 죽령 죽령 - 홈페이지 : 소백산국립공원 http://sobaek.knps.or.kr 소백산맥을 넘는 죽령은 문경새재와 추풍령 등과 함께 영남의 삼관문의 하나이고, 그 중 으뜸으로 손꼽혀 왔다. 소백산 제 2연화봉과 도솔봉이 이어지는 잘록한 지점을 정상으로 해발 689m를 기록하고 있다. 삼국사기에 아달라왕(阿達羅王) 5년(158년) 3월에 열린 것으로 기록되고 있고, 동국여지승람에는 『아달라왕 5년에 죽죽(竹竹)이 죽령길을 개척하고 지쳐서 순사(殉死)했고, 고갯마루에는 죽죽을 제사하는 사당(竹竹祠)이 있다고 했다. 이처럼 유구한 역사와 온갖 애환이 굽이굽이 서려있는 죽령은 삼국시대 한동안 고구려와 신라가 대치해 불꽃튀는 격전을 펼치기도 했다. 고구려가 죽령을 차지한 것은 장수왕 때인 서기 470년경이며, 그.. 2022. 7. 31. 경상북도 영주시 - 영주포교당 영주포교당 영주포교당은 영주시내 한가운데에 있는 조선시대 구성산성 터 아래에 있다. 넓다란 들 가운데 마치 거북이 모양을 한 나지막한 산으로 현재는 구성공원으로 불리운다. 영주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어 아침, 저녁으로 오르내리며 영주 시가를 조망하는 곳이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는 영주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걸어온 많은 애환이 담긴 곳이기도 하다. 영주 시내 중심에 자리한 영주포교당은 접근이 용이하다. 영주역이나 영주 시외버스터미널에서 택시를 타면 5분 정도 거리며, 걸어가도 10여분이면 갈 수 있다. 우리나라 사찰은 대부분이 산속에 자리하여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포교활동에도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도심포교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심을 중심으로 포교당이 설립되었다. 1920년대 각 본사급 사.. 2022. 7. 30. 이전 1 ··· 4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