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달성군68

대구 달성군 - 송담서원(대구) 송담서원(대구) - 홈페이지 : https://www.dalseong.daegu.kr/ http://www.cha.go.kr 구지면 도동리 소재의 이곳은 임진왜란때 종군하여 큰 공을 세웠으며, 정유 재란때 의병대장으로 활약한 대암 박성을 배향하는 곳으로 그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영남유림에서 서당을 건립했다. 그러나, 한일합방시 친일파의 방화로 서원과 비각이 소실되었던 것을 후손들이 송담서원 삼문제각과 비각을 복원하였다. 이 건물은 정면5간, 측면 2간의 팔작지붕이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530-47 ※ 소개 정보 - 체험안내 : 시제(時祭)(분향강신(焚香降神), 참신(參神),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종獻), 유식(侑食), 복반(復飯),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 2022. 11. 1.
대구 달성군 - 수도암(대구) 수도암(대구) 수도암은 유가사에 속한 비구니 수행처로 극락전, 천태각, 산령각, 요사 두 채가 있는 아담한 암자이다. 유가사와 마찬가지로 신라시대때 도성국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유가사에서 북서편으로 5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 산내 암자로 암자 주변에는 낙암 선사의 비문이 있다.극락전 앞뜰에는 옛 전설을 간직한 거북바위가 자리하고 있으며, 가지가 4미터 정도 뻗은 꽤 큰 떡갈나무가 있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유가사길 161 (유가면)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3-614-5116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 2022. 11. 1.
대구 달성군 - 강정고령보 강정고령보 - 홈페이지 : https://tour.daegu.go.kr/index.do 경북 고령군 다산면과 대구 달성군 다사읍에 걸쳐 있는 낙동강의 보이자 교랑이다. 4대강 정비 사업으로 건설되어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는 카페와 식당 많은 전동샵들이 운영중이다. 아이와함께 산책하며 휴식하기 좋은 곳이며, 밤에는 디아크의 야간 조명으로 화려한 야경을 볼 수 있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강정본길 57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3-585-0917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 2022. 11. 1.
대구 달성군 - 소재사(대구) 소재사(대구) * 고색창연한 아름다움이 있는 사찰, 소재사 * 대구 광역시 비슬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소재사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추정된다.1358년(고려 공민왕 7) 진보(眞寶)가 중창한 뒤 1457년(조선 세조 3) 활륜(活輪),1510년(중종 5) 외암(外巖)이 각각 중건하고 1857년(철종 8)에 법로(法盧)가 중수한 바 있다. 건물로는 대웅전과 명부전·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은 1978년에 보수했고 명부전은 근래에 허물어져 다시 중수하였다. 재앙을 없앤다는 의미의 절 이름은 창건 당시 이름인지도 알 수는 없으나, 대략 신라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기록이 남아 있는 부분은 고려 공민왕 7년(1358)에 진보법사가 중창을 .. 2022. 11. 1.
대구 달성군 - 도동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동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달성 문화관광 https://bit.ly/3uzBpEX 도동서원은 조선 5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된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을 향사한 서원으로 1568년(원조원년) 지방유림에서 현풍 비슬산 동쪽 기슭에 세워 쌍계서원(雙溪書院)이라 불렀는데 창건 5년 뒤인 1573년(선조6)에 같은 이름으로 사액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그 후 1604년(선조37)에 지방의 사림들이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여 보로동 서원(甫老洞書院)이라 불렀다. 이황은 김굉필을 두고 ‘동방도학지종(東方道學之宗)’이라고 칭송했다. 1607년(선조40) 도동서원(道東書院)이라 사액하였으며, 마을 이름도 도동리라 고쳐 불렀다. 도동서원은.. 2022. 11. 1.
대구 달성군 - 디아크문화관 디아크문화관 - 홈페이지 : 2022. 11.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