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상북도1223

경상북도 울릉군 - 내수전몽돌해변 내수전몽돌해변 - 홈페이지 : http://www.ulleung.go.kr/tour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에 있는 해수욕장으로 닥나무가 많이 자생해서 저전포라고도 했으나, 울릉도 개척민이었던 김내수라는 사람이 화전을 일구고 살았다는 이유로 내수전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내수전해변은 크지 않은 작은 해변으로 비교적 경사가 급하고 물이 매우 깨끗하다. 해수욕과 담수욕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몽돌이 깔린 해변으로 여름철 해수욕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으며, 텐트를 치는 야영장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주변에 내수전약수터, 내수전 일출 전망대가 있으며 전망대에서는 울릉도의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다. - 주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울릉군 해양수산과 054.. 2022. 7. 28.
경상북도 청송군 - 청송고택 청송고택 - 홈페이지 : http://www.cs.go.kr/tour.web 600여 년 고도의 마을인 덕천마을 내에는 총 7채의 고택이 있다. 각 고택마다 전해오는 이야기들이 가득하며 특히 99칸의 심부자집 송소고택은 유명하다. 고택 운영자들은 숙박객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청송고택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현재 마을 내 음악회, 전통놀이, 염색, 농산물 체험 등을 진행하고 있다. * 송소고택(국가민속문화재) *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국가민속문화재) * 서벽고택(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재) * 청송 사남고택(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재) - 주소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 소개 정보 - 체험안내 : 고택체험 - 문의 및 안내 054-870-6247 - 주차시설 : 주차 가능 - 이.. 2022. 7. 28.
경상북도 청송군 - 경북 청송 주왕산면·파천면 [슬로시티] 경북 청송 주왕산면·파천면 [슬로시티] - 홈페이지 : http://cittaslow.kr 백두대간에 안긴 오지중의 오지 경북 청송이 2011년 6월 25일 슬로시티로 선정되었다. 푸른 소나무를 뜻하는 '청송'이라는 지역은 이름처럼 깊고 푸른 지역으로 청송의 슬로시티 지역은 부동면과 파천면이다. '슬로시티'라는 이름에 걸맞은 공간이 자리하는 데 먼저 봄이면 수달래, 가을이면 단풍에 안기는 주왕산국립공원이 있다. 오지로 꼽히던 청송을 세상에 알린 주역으로 청송의 매력을 한 눈에 살피기 위해 빼놓을 수 없는 명소이다. 주왕산 자락의 '주산지' 역시 사진작가와 관광객이 잊지 않고 찾는 곳이다. 더불어 조선시대 내로라하는 세도가 '청송 심씨'의 본향 덕천마을도 '고택체험'으로 이름이 높다. 99칸 한옥 원형이 .. 2022. 7. 28.
경상북도 영천시 - 영천보성리암각화 영천보성리암각화 - 홈페이지 : http://www.yc.go.kr/tour http://www.cha.go.kr 암각화는 선사시대 사람들이 바위나 동굴벽에 기호나 물건, 동물 등의 그림을 새겨놓은 것을 말하는데, 주로 농사의 풍요와 생산을 기원하던 주술행위의 결과물로 보인다. 이 암각화는 거북이 모양으로 생긴 바위 한 쪽 옆면에 7개의 그림을 새겨 놓았다. 그림을 새긴 면의 넓이는 최대 길이 337㎝, 최대 폭 130㎝이다. 포항 칠전리와 고령 양전동, 영주 가흥리에 있는 암각화와 비슷한 것으로 보아 같은 문화유형으로 추정되나, 각 그림의 세부형식이 조금씩 달라, 서로 시대가 달랐거나 혹은 지역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대를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렵지만 청동기 후기나 철기시대 초기 단계의 것으.. 2022. 7. 28.
경상북도 상주시 - 상주오작당 상주오작당 - 홈페이지 : http://www.sangju.go.kr/tour http://www.cha.go.kr * 양진당의 원초형인 조선시대 가옥, 오작당 * 오작당은 양진당 주변의 조선시대 건물이다. 조성덕씨 소유로 양진당보다 25년이나 앞서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오작당(梧昨堂)은 일명 구당이라고도 하는데 검간(黔澗) 조정(趙靖) 선생의 종가로 처음은 선조를 추모할 목적으로 지은 집이다.1601년(선조 34년) 검간선생이 요포(현재의 양진당 자리)의 옛터에 지었다가 1661년(현종 2년) 조대윤 선생이 은천의 새터(新基, 승곡리 자연부락)로 이전하였다. 이전 당시는 내사 외사 모두 40여 칸이었으나, 1781년(정조 5년) 중수시 겹집과 흩어짐이 공존하는 건물이 되었으며 양진당의 원초형이다. *.. 2022. 7. 28.
경상북도 영천시 - 영지사 영지사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 14번지 구룡산(九龍山) 아래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 사이다.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 했던가. 맑은 향내 묻어나는 가을바람에 마음을 비우는 시간, 영천 땅을 밟으면서 바쁜 세상사 속의 일상을 뒤로 하고 내 삶의 나침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영지사는 경북 영천시 대창면 九龍山과 五芝山의 12봉을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는 유서깊은 전통사찰이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절로 올라가는 길 조금 못 미쳐서는 광해군 4년(1612) 지산 조호익(1545~1609) 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지봉서원(芝峰書院)으로 세웠다가 숙종 4년(1678) 사액 받아 개명한 도잠서원(道岑書院)이 있.. 2022. 7.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