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상북도1223 경상북도 상주시 - 옥량폭포 옥량폭포 - 홈페이지 : 상주 문화관광 http://www.sangju.go.kr/tour * 높이 15m의 장엄한 폭포, 옥량폭포 * 상주시에서 괴산으로 가는 길목, 속리산국립공원 구역 내에 있다. 속리산 줄기의 동쪽, 상주시 화북면 일대에는 장각폭포, 오송폭포 등 여기저기에 크고 작은 폭포들이 널려 있다. 문자 그대로 폭포지대라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 가운데 옥량폭포는 높이가 15m에 이르고 있고 장관을 이룬다. 옥량폭포 위에는 천작돌다리가 있다. *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 사이에 있는 산, 속리산 * 높이 1,054m이다. 큰 암석이 하늘 높이 치솟아 흰 구름과 맞닿은 듯한 절경을 이루고 있어 운장대(雲藏臺)라고도 한다. 비로봉(毘盧峰)·관음봉(觀音峰)·천황봉(天皇峰)과 함께 속리산(.. 2022. 7. 29. 경상북도 포항시 - 죽림사(포항) 죽림사(포항) 봉비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도심 속의 전통 사찰이다. 가람 주변으로 민가들이 빼곡이 들어서 있어 가람과 대조적인 모습을 뛰고 있다. 가람으로 진입하는 일주문을 크고 높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주변의 민가 집 대문과 차이점을 두었으며 도시형 사찰답게 입간판은 옆 3층 건물 위에 달아 놓아 멀리서도 관찰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봉비산의 산록의 자연 지세를 이용하여 가람의 동남쪽 방향으로 향을 잡고 단을 구획하여 각 전각을 조성하였다. 죽림사는 도심형 사찰답게 사찰의 외형적인 모습보다는 내부 활동을 충실하고 있으며, 대중에서 다가는 포교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신도회, 관음회, 지장회, 유마회 등의 신도 모임이 있고, 반야 합창단, 청년회, 학생회 등의 많은 활동이 활발하다. 청년회와 학생회는 1.. 2022. 7. 29. 경상북도 경산시 - 안흥사(경산) 안흥사(경산) 경산 안흥사는 경북 경산시 상방동 71번지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 사찰이 어려움에 처해 부득이 옮겨야할 경우가 있다면 전란의 피해 또는 풍수적인 이유에서일 것이다. 그것은 사찰만이 가지는 종교적 영속성을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산(慶山)의 안흥사(安興寺) 역시 그러하다. 사찰이 퇴락하고 없어지더라도 이처럼 불가의 인연은 놓지 않아 그 이름을 이어가는 사찰 중 하나이다. 안흥사의 지금 자리는 창건과는 거리 먼 곳이다. 절을 3번 옮겼는데 그것도 한국전쟁 이후에 옮겼다. 그것도 부득이한 여러 이유로 인해 가람을 옮겨나갔던 것이다. 그런데 그러다보면 사격이나 사찰의 재정이 떨어지고 신도들도 차츰 떠나가게 마련인데 지금도 안흥사는 불법홍포와 경산지역 포교의 .. 2022. 7. 29. 경상북도 경산시 - 원효암(경산) 원효암(경산) 원효암은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382번지 팔공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 민족의 영산인 팔공산은 갓바위 부처님을 위시한 영험있는 기도처를 비롯해 골골마다 불타의 혜명을 이어나가는 도량이 산재해 있다. 그러나 원효암의 경우,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팔공산 한 켠에서 단지 조용한 기도도량으로써 맥을 이어나가고 있다.팔공산의 뻑적지근한 사찰에 비하면야 조그만 암자에 지나지 않지만 원효암은 다부진 불사를 거듭해와 지난 1986년의 대화재 이후 사격을 바로 세우고 있다. 대화재는 팔공산 인근 예비군 훈련장에서의 실화로 그 화마가 산을 타고 원효암까지 넘어와 사찰을 전소시킨 안타까운 사건이었다. 더군다나 40여년 전만해도 대처승 주석사찰로 정화대상 사찰 중 하나.. 2022. 7. 29. 경상북도 안동시 - 안동 운흥동 당간지주와 오층전탑 안동 운흥동 당간지주와 오층전탑 - 홈페이지 : http://www.tourandong.com http://www.cha.go.kr * 통일시대의 사철터를 알려주는 유물, 운흥동 당간지주와 운흥동 오층전탑 * 운흥동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당간지주란 절에서 불기나 괘불 등을 다는 깃대를 고정시키는 돌기둥이다. 이 곳에 있던 절의 이름은 확실히 알 수 없다. 이 지주(支柱)는 안동역 구내에 있는 동부동 5층전탑의 서편 5m 거리에 위치해 있는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로 높이는 260cm이다. 양지주의 윗부분이 6.25 전란때 파손되었고, 양지주 사이에 당간을 받쳤던 간대(杆臺)에는 원형주좌(圓形柱坐)가 장치되어 있다. 이 당간지주가 소속되어 있었던 절의 이름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동쪽에.. 2022. 7. 29. 경상북도 안동시 - 영호루 영호루 - 홈페이지 : http://www.tourandong.com * 한강 이남의 대표적인 누각, 영호루 * 오래전부터 안동의 영호루는 경남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전북 남원의 광한루(廣寒樓)와 함께 한강 이남의 대표적인 누각으로 불리어져 왔다. 창건에 관한 문헌이 없어, 언제 누구에 의하여 건립되었는지 잘 알 수는 없으나 천여 년 동안 그 이름이 전통의 웅부안동(雄府安東)과 함께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영호루는 철근 콘크리트로 된 한식 누각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집으로, 북쪽 면에는 공민왕의 친필 현판을 걸고, 남쪽 면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인 ‘영호루’를 걸었다. 내부에는 갑술년 홍수 때 유실되었다가 회수한 현액들과 새로 복원한 현액들을 게판하.. 2022. 7. 29. 이전 1 ···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0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