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상남도1195 경상남도 거제시 - 외포리 대구탕거리 외포리 대구탕거리 - 홈페이지 : http://tour.geoje.go.kr/index.geoje 외포리 대구탕거리는 외포항 포구에 있는 식당 10여 곳이 늘어선 거리를 말한다. ‘눈 본 대구 비 본 청어’라는 속담처럼 대구는 산란기 기간과 겹치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가 제철이며, 외포리는 이때 조업과 위판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따라서 이곳에서 신선한 제철 대구를 쉽게 즐길 수 있다.이곳의 대구탕은 뽀얀 국물로 진하고 구수한 맛이 나며, 느끼하지 않고 속을 개운하게 하는 음식으로 해장에 특히 좋다. 허영만 작가의 유명 음식 만화 "식객"에서 소개되었고, 김영삼 대통령 생가, 옥포대첩 기념관 등 여러 관광명소와 멀지 않아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고 있다. -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 2022. 11. 30. 경상남도 창원시 - 군항마을 역사길 군항마을 역사길 - 홈페이지 : http://culture.changwon.go.kr/index.changwon?contentId=9 군항마을은 근대 역사의 중심지로 일제강점기의 아픔이 서려 있는 곳이다. 1912년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은 진해 중앙동에 계획도시를 건설 하였고, 이 과정에서 살고 있던 주민들은 강제로 쫓겨나고 시가지는 일본인들이 고스란히 차지하였다. 일본은 이곳에 있던 1200년 된 팽나무를 중심으로 여덟 갈래의 방사직교형 시가지 길을 만들었다. 그 잔재로 군항마을에서는 근대역사 건축물들을 볼 수 있다. 군항마을 역사길에는 일본군 초소로 사용 되었던 수양회관, 단픙 목조건물 진해우체국, 요항부 병원장 관사 등이 있다.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 71 (여좌동) ※ 소개 정.. 2022. 11. 30. 경상남도 밀양시 - 삼강서원 삼강서원 - 홈페이지 : https://www.miryang.go.kr/tur/index.do http://www.cha.go.kr 낙동강가 민씨 오우정(五友亭) 안에 있는 서원으로 연산군, 중종 때 학자인 민구령(閔九齡), 민구소(閔九韶), 민구연(閔九淵), 민구주(閔九疇), 민구서(閔九敍) 등 5형제를 배향하였다. 삼강서원은 조선 연산군·중종 때의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였던 민구령(閔九齡)이 1510년(중종 5)경에 삼랑루(三郞樓)가 있던 자리에 정자 하나를 짓고, 아우인 민구소(閔九韶), 민구연(閔九淵), 민구주(閔九疇), 민구서(閔九敍)와 더불어 5형제가 베개를 나란히 하여 기거하면서 학문을 닦고 실천하여 형제간의 우애가 출천(出天)하여 향도에 그 평판이 자자하였다. 1547년(명종 2)에 당시.. 2022. 11. 30. 경상남도 김해시 - 장유율하카페거리 장유율하카페거리 - 홈페이지 : https://www.gimhae.go.kr/00510/03080/03800.web?amode=view&idx=520 율하천을 따라 감각적인 인테리어로 꾸며놓은 카페들과 이색적인 맛집들이 어우러져 있는 장유율하카페거리는 김해에서 가장 핫한 곳이다. 프랜차이즈 카페부터 개인이 운영하는 로스팅 카페들이 있어 입맛에 맞는 커피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카페와 함께 다양한 메뉴의 음식점도 있어 커피와 식사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또 카페거리 주변으로 산책로가 잘 되어 있어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이다. 특히 여름에는 하천에서 물놀이도 즐길 수 있어 어린이들과 가족들이 함께 오기 좋다. 율하천을 따라 걷다 보면 율하 유적전시관이 나오는데 율하지구 택지 개발 사업을 하며 이 지역에.. 2022. 11. 30. 경상남도 통영시 - 착량묘 착량묘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순국하고 전란이 끝난 이듬해인 선조 32년(1599) 수군들과 이곳 주민들이 공의 충절과 위훈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판도가 바라보이는 착량언덕에 초옥을 짓고 공의 위패를 모시어 춘추향사와 기신제를 모시었으니 이것이 이충무공 사당의 효시이다. 그후 고종 14년(1877) 공의 10세손 이규석 제198대 통제사가 초가집을 기와집으로 고쳐 짓고 그 이름을 착량묘라 하였으며 이때 호상재도 같이 지어 지방민의 자제들을 교육시켰다. 착량묘는 비바람으로 퇴락된 채 오랜 세월을 견디어 오다가 1974년 도지정기념물로 지정되자 그해부터 1985년까지 5차례에 걸쳐 정화사업을 벌여 동재와 고직사, 외삼문, 일각문을 신축하여 오.. 2022. 11. 30. 경상남도 김해시 - 가야의 거리 가야의 거리 - 홈페이지 : http://tour.gimhae.go.kr * 금관가야의 발상지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가야의 거리 * 김해시는 금관가야의 발상지로서 시가지 전역에 산재한 역사문화자원을 종합적으로 정비하고자 가야문화의 주요 유적지들을 연결하는 가로공원의 성격으로 가야의 거리를 조성하였다. 총연장 2.1km내에 찬란했던 가야 해상무역의 영화를 간직한 해반천과 더불어 주변에 산재한 봉황동 유적, 수로왕릉, 대성동고분군, 국립김해박물관을 아우르는 도시의 골격적 경관축으로서 도시의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고 생활 속에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기문화를 상징하는 상징분수와 야간 경관조명 등으로 가야문화의 번영을 상징화하였으며, 타원형의 바닥분수, 가야인의 생활환경이 함축된 주제정원.. 2022. 11. 30. 이전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0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