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기도 안성시70

[경기도 안성시] 용설호수캠핑장 - 낚시와 둘레길걷기 캠핑을 동시에 즐길수 있습니다. 용설호수캠핑장 수도권 안성시 용설호수바로앞에 위치한 소규모캠핑장으로서 낚시,둘레길체험,허브농원,등산,자전거등을 즐길수있습니다. - 주소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용설호수길 234 - 전화 : 010-8502-2863 - 홈페이지 : 바로가기 - 예약 페이지 : 바로가기 - 예약 구분 : 온라인실시간예약 - 민간 캠핑장이고,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여행시기 : 봄,여름,가을,겨울 - 운영기간 : 봄,여름,가을 - 운영일 : 평일+주말 - 업종 : 자동차야영장 - 상주관리인원 : 2명 - 일반야영장 : 10면 - 사이트 크기1 (가로 x 세로)(단위 : m) : 0 x 0 = 10개 - 사이트 바닥은 파쇄석 10개로 되어 있음. - 화장실 : 2개 - 샤워실 : 2개 - 개수대 : 3개 - 화로대 : 개.. 2022. 11. 3.
경기도 안성시 - 서흥김씨삼강정문 서흥김씨삼강정문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http://www.cha.go.kr 충신 김충수와 그의 아들 함의 효행 및 열녀 두분의 행적을 높이 기려 국가에서 건립한 것으로, 김충수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죽산에서 왜군과 접전하다가 적에게 붙잡히자 같이 싸우던 아들함이 부친을 구하고자 적진에 쳐들어가 적을 무찌르다가 부자가 동시에 순절하여 선조 39(1606)년 김함의 효절을 기려 효자 정문을 내렸고, 숙종 26년(1700)년 김충수의 충정을 기려 충신 정문을 내렸다. 한편 김함의 손녀인 온양 정씨는 병자호란을 당하여 이천 거마산으로 피신했으나 적의 추적으로 욕을 면키 어렵게 되자 두 딸과 함께 못에 투신자살하여 정절을 지켰다. 영조 16(1740)년 열녀정문.. 2022. 9. 27.
경기도 안성시 - 신창리삼층석탑 신창리삼층석탑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http://www.cha.go.kr 이 석탑은 봉국사지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2층 탑신부 이상이 붕괴되어 주변에 방치된 상태이나 부분 재료는 양호한 편이다. 1·2층 탑돌몸(옥신:屋身)에는 양 모서리 기둥(양우주:兩隅株)이 조각되어있고, 1층 탑신 윗 쪽에 원형사리공(舍利孔)이 있으며, 하층기단 갑석은 4개의 판석으로 조성되었으며, 지붕돌(옥개석:玉蓋石)은 모두 4단 옥석받침이 만들어졌고, 옥신의 괴임대는 2단으로 되어있으며,남향 한 정면은 쓰러져있고,상륜부(相輪部)가 없으나, 기단부에서 상층부까지는 완벽하게 원형을 갖추고 있으며 옥신이나 옥새석의 주각수법이나 그 형식으로 보아 고려후기의 석탑으로 추정되며, 석탑의 .. 2022. 9. 27.
경기도 안성시 - 안성대농리석불입상 안성대농리석불입상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http://www.cha.go.kr 안성시내에서 용인 방향으로 작은 고갯길을 넘으면 야트막한 산밑 동네 대농리로 들어선다. 대농리 마을회관을 끼고 오른쪽 농로로 진입하면 150m 지점에 작은 소나무 숲이 보인다. 그 옆에 오랜 세월 마을사람의 애환을 달래주는 미륵불 1기가 서 있다. 미륵불은 사시사철 풍화에도 잘 견뎌낸 듯 보존상태가 좋다. 사람의 손만 타지 않는다면 돌도 세월의 무게를 곱게 전할 수 있으련만. 대농리 석불입상은 한 마디로 둥그스런 외모에 후덕한 인상이 특징이다. 마치 달관한 노인처럼 푸근하고 넉넉하다. 벙거지형 모자에는 보개가 얹혀 있고, 귀가 어깨에 닿는다. 왼손으로 약병을 잡고 오른손을 아래서 .. 2022. 9. 27.
경기도 안성시 - 양성향교 양성향교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http://www.cha.go.kr 조선 숙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 및 자세한 연혁은 미상이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명륜당·내삼문·외삼문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 2022. 9. 27.
경기도 안성시 - 바우덕이 묘 바우덕이 묘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바우덕이는 안성 청룡사 옆 골짜기인 불당골에서 지냈다고 한다. 혹은 청룡사에서 숙식했다는 주장도 있다. "안성 청룡 바우덕이…"로 시작하는 바우덕이 속요에도 나와 있지만 바우덕이와 안성 청룡사는 뗄래야 뗄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다. 당시 전국의 사찰들은 재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청룡사에서는 사당패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고, 바우덕이패는 공연을 하면서 먹거리며 현금을 조달해 주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상호 공생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바우덕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안성 청룡사를 찾아보아야 한다. 청룡사는 큰 사찰은 아니지만 매우 아름다운 대웅전으로 유명하다.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용리 ※ 소개 정보.. 2022. 9.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