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강화군134 인천 강화군 - 정족산 정족산 - 홈페이지 : 강화군 문화관광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정족산은 산의 생김새가 마치 세 발 달린 가마솥과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산이다. 정족산은 그리 높지는 않지만, 강화도에서 가장 큰 사찰인 전등사와 정족산성 등 많은 유물이 남아 있다. 특히 정족산에는 `조선왕조실록&apos을 보관했던 사고터가 남아있어 유적답사 및 가족산행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곳이다. 산행은 전등사에서 시작된다. 전등사의 요사채 뒤로 난 길을 곧바로 올라가면 정상에 닿을 수 있다. 정상에서는 나무에 둘러싸인 전등사의 고풍스러운 모습과 마니산과 서해바다의 모습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1988년 개관한 강화역사관은 선사시.. 2022. 9. 5. 인천 강화군 - 용흥궁 용흥궁 - 홈페이지 : 강화군 문화관광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조선 제25대 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강화유수 정기세가 건물을 새로 짓고 용흥궁이라 이름을 붙였다.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고,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용흥궁은 청덕궁의 연경당,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을 따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경내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 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다.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6-1 ※ 소개 정보 - 체험가능 .. 2022. 7. 6. 인천 강화군 - 강화 선원사지 강화 선원사지 - 홈페이지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강화 선원사지는 1976년 동국대학교 강화도학술조사단이 강화도 일원에 대한 지표조사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이곳에서 몇 개의 주춧돌을 비롯하여 보상화무늬 전돌, 범자(梵字) 새긴 기와, 지붕에 얹었던 잡상들을 확인하고, 선원면(仙源面) 도감마을, 도감산에 있는 사지이므로 학술적•역사적으로 가치가 있어 지역의 연원을 기초하여 1977년에 사적 제259호 강화선원사지(江華仙源寺址)로 지정되었다. 동유적에 대하여 1996년부터 4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동국대학교박물관) 결과 건물터, 축대, 배수시설 유구와 연화문 기와, 금동탄생불, 청동나한상, 탄화된 금니.. 2022. 7. 6. 인천 강화군 - 강화향교 강화향교 - 홈페이지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1127년(인종 5) 3월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고려산(高麗山) 남쪽 기슭에 창건되었다. 1232년(고종 19)에 지금의 갑곶리[甲串里]로 옮겼다가 몽고군의 침입으로 다시 서도면(西島面)으로 이건하였다. 그 뒤 강화군으로 옮겨왔으며 1624년(인조 2)에 강화유수 심열(沈悅)이 소동문(小東門) 밖의 송악산(松岳山) 옆에다 복원하였다. 1629년에는 강화부윤 이안눌(李安訥)이 명륜당을 중건하였으며, 1688년(숙종 14)에 유수 민시중(閔蓍重)이 남문 근처로 이건하였다. 1731년(영조 7)에는 유수 유척기(兪.. 2022. 7. 6. 인천 강화군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 홈페이지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봉은사지 오층석탑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탑은 단층기단 위에 탑신부를 형성한 일반형 석탑이다. 탑 주위에 고려시대 사찰인 봉은사가 있었다 전하나 현재는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다. 봉은사는 개성에 있던 고려시대 국찰로 고종 19년(1232)에 수도를 강화도로 옮길때 함께 옮겨졌다. 발견 당시 주변에 흩어져 있던 석재를 1960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다시 세웠다. 기단 면석에는 양 우주가 모각되어 있고, 갑석은 부연 없이 상(上)면에는 낮은 1단 괴임으로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부에는 탑신, 옥개석 1석씩 되어 있으며, 옥개석 받침은 4단 또는 3단으로 불규칙.. 2022. 7. 6. 인천 강화군 -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 홈페이지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에 있는 탱자나무이다.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강화군이 관리하고 있다. 수령 400년 정도의 노거수로서 나무의 크기는 높이 4m, 뿌리목 둘레 1m, 2갈래로 갈라진 부분의 가슴높이 지름이 각각 14cm와 10cm 안팎이다. 가지 길이는 동쪽 1.5m, 서쪽 4.4m, 남쪽 3.3m, 북쪽 2.2m이며, 차지하는 면적은 13.2㎡이다. 주위에는 큰 가죽나무가 자라고 있다. * 높이 : 4m, 뿌리목 둘레 : 1m, 면적 : 13.2㎡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동문로 119 (강화읍) ※.. 2022. 7. 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