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220

인천 옹진군 - 백령도 콩돌해변 백령도 콩돌해변 - 홈페이지 : http://www.ongjin.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콩알만한 자갈들이 바닷가에 널려있어 콩돌해안이라 불리우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해안의 길이는 800m, 폭은 30m 정도이며, 콩돌들은 백령도 지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규암이 부서지고 해안 파도에 의해서 닳고 닳아서 만들어진 해안으로 콩돌을 만들어 낸 투명한 자갈이 부딪히는 파도소리를 들으며 피부염에 특효가 있다는 자갈찜질을 체험할 수 있다. 해안경사가 급해 갑자기 깊은 곳이 있으며, 물이 빠진 간조시간에는 해안 끝 절벽에 움푹 파인 곳이 생긴다. - 주소 :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32-899-3403 - .. 2022. 7. 6.
인천 강화군 - 용흥궁 용흥궁 - 홈페이지 : 강화군 문화관광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조선 제25대 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강화유수 정기세가 건물을 새로 짓고 용흥궁이라 이름을 붙였다.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고,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용흥궁은 청덕궁의 연경당,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을 따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경내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 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다.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6-1 ※ 소개 정보 - 체험가능 .. 2022. 7. 6.
인천 옹진군 - 장봉도 한들해수욕장 장봉도 한들해수욕장 - 홈페이지 : http://itour.incheon.go.kr 북도면 장봉도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발생 해변으로 수심이 얕고 경사가 완만하여 희고 고운 백사장으로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에서 해수욕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며 망둥어 낚시도 할 수 있어 가족단위나 연인들이 이용하기에 최고의 장소다. - 주소 :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장봉로465번길 70 ※ 소개 정보 - 체험안내 : 갯벌체험 - 문의 및 안내 032-752-8500 - 주차시설 : 주차 가능 - 이용시간 - 이용가능시설 : 야영장, 샤워장, 매점 - 화장실 : 있음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 2022. 7. 6.
인천 옹진군 - 서포리해변 서포리해변 - 홈페이지 : http://www.ongjin.go.kr/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이곳은 사면이 100년이 넘는 노송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고 완만한 경사와 넓이 300m 길이 3km의 넓은 백사장은 매년 10만 명이 넘는 관광객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는 곳이다. 200여 년은 족히 됐다는 소나무 8백여 본이 심어져 있는 소나무 숲은 단체야영에 제격이다. 거기에 넓은 운동장, 바닷가 놀이터, 테니스장, 음식점, 노래방, 자전거 대여소도 있으니 웬만한 레저시설은 다 준비되어 있는 셈이다. 주변의 갯바위에서는 우럭과 놀래미가 잘 잡혀 바다 낚시를 즐기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서포리 산림욕장의 특징은 손쉽게 해수욕과 산림욕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주변의 아름다운 .. 2022. 7. 6.
인천 미추홀구 - 인천도호부관아 인천도호부관아 - 홈페이지 : http://www.dohobu.org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지방 행정기구는 도(道)이다. 경기도의 경우, 3개의 목(牧)과 8개의 도호부(都護府), 10개 군(郡)과 12현(縣)이 있었고, 8개의 도호부 가운데 인천도호부와 부평도호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인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것은 조선 세조 5년(1459)으로 세조의 비(妃)인 자성왕후 윤씨의 외향(外鄕)이기 때문이었다.인천도호부관아의 건축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객사를 보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지붕의 기와에서 ‘강희 16년’이라는 명문(銘文)이 나온 것을 볼 때 숙종 3년(1677)에 중수된 것임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인천도호부의 건물 구성은 《인천부읍지(仁川府邑誌)(1899)》를 통해 짐작해 볼 수 .. 2022. 7. 6.
인천 강화군 - 강화 선원사지 강화 선원사지 - 홈페이지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http://www.cha.go.kr 강화 선원사지는 1976년 동국대학교 강화도학술조사단이 강화도 일원에 대한 지표조사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이곳에서 몇 개의 주춧돌을 비롯하여 보상화무늬 전돌, 범자(梵字) 새긴 기와, 지붕에 얹었던 잡상들을 확인하고, 선원면(仙源面) 도감마을, 도감산에 있는 사지이므로 학술적•역사적으로 가치가 있어 지역의 연원을 기초하여 1977년에 사적 제259호 강화선원사지(江華仙源寺址)로 지정되었다. 동유적에 대하여 1996년부터 4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동국대학교박물관) 결과 건물터, 축대, 배수시설 유구와 연화문 기와, 금동탄생불, 청동나한상, 탄화된 금니.. 2022.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