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150 [강원도 평창군] 제9회 횡성더덕축제 제9회 횡성더덕축제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유동리 - 행사 일정 : 2022-08-26 ~ 2022-08-28 - 홈페이지 : https://www.hsg.go.kr - 전화번호 : 033-340-2831~3 횡성군 8대명품중 하나인 더덕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이벤트 및 판매장 운영 ※ 소개 정보 - 이용요금 : 무료입장 - 행사 장소 :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농거리 축제장 일원 유동리 1150번지 - 공연시간 : 2022.8.26(금)~28(일) - 주최자 정보 : 횡성더덕축제위원회 - 주최자 연락처 : 033-340-2831~3 행사소개 횡성군 8대명품중 하나인 더덕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이벤트 및 판매장 운영 행사내용 1. 체험프로그램 : 더덕캐기, 더덕품평회, 더덕비빔밥 만들기, 더.. 2022. 7. 20.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관광축제] 제61회 통영한산대첩축제 [문화관광축제] 제61회 통영한산대첩축제 - 주소 : 경상남도 통영시 중앙로 65 통영시립박물관 - 행사 일정 : 2022-08-06 ~ 2022-08-14 - 홈페이지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s://tyhansancf.or.kr 통영한산대첩축제 홈페이지http://www.hansanf.org - 전화번호 : 055-644-5222 제61회 통영한산대첩축제는 '장군의 눈물'을 주제로 2022년 8월 6일(토) ~ 8월 14일(일)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및 통영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통영시가 주최하고 (재)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에서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남도, 한국관광공사, 해군본부에서 후원한다. 통제영 역사와 전통을 기반으로 통영의 전통문화 콘텐츠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지역의 관광산업 .. 2022. 7. 20. 경기도 화성시 - 제부도해수욕장 제부도해수욕장 - 홈페이지 : http://tour.hscity.go.kr 하루에 두 번씩 바닷길이 열려 '모세의 기적'으로도 알려진 서해의 작은 섬 제부도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제부도 해수욕장은 길이 1.8km로 백사장 오른쪽으로 기암 절벽이 자리하고 있어 비경을 연출한다. 왼쪽으로는 매 바위가 위치해 있으며, 수온 역시 적당하고, 경사도도 완만하다. 백사장 오른쪽에는 기암절벽이 있고, 왼쪽에는 매바위가 있어 멋진 경관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물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이 없이 경사도가 매우 완만하여 어린이나 노인들도 비교적 안전하게 해수욕을 즐길 수 있다.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해안길 260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31-5189-6049 - 주차시설 : 있음 - 이용시간 - 화장실.. 2022. 7. 19. 경기도 안성시 - 박두진 시비 박두진 시비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지난 1998년 박두진 시인의 시비가 시인이 어린시절 뛰어놀던 보개면 안성시립보개도서관 입구에 건립되었다. 시비에는 고향 전문이 실려있고, 해의 소재가 되었다는 백운산이 시비를 마주하고 있다. 금광면 오흥리에는 시인의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박두진 문학연구소가 있으며 1982년 시인이 손수 썼다는 친필 현판은 오는 이의 발길을 머물게 한다. 시인의 묘소는 보개면 기좌리에 있다. 성시가 지난 6월 21일 남부 프랑스의 고대 로마 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는 베종 라 로멘느(Vaison la Romaine)市에 청록파 박두진 시인의 시비를 설치했다. 베종시는 지난 1992년 큰 홍수가 일어났을 때 세계 로터리클럽의 지원으로 복구.. 2022. 7. 19. 경기도 포천시 - 포천향교 포천향교 - 홈페이지 : http://www.pocheon.go.kr/ktour/index.do 1983년 9월 19일 경기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향교재단이 소유하고 있다. 고려시대인 1173년에 세워졌다고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1594년(선조 27)에 중건하였고, 1916년에 중수하였다. 그뒤 6•25전쟁으로 파괴된 것을 포천 유림(儒林)에서 뜻을 모아 1962년 다시 중건하였고 1984년에 보수하였다.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로서 강학공간(講學空間)이 외삼문(外三門) 안에, 제향공간(祭享空間)이 내삼문(內三門) 안에 있다. 외삼문으로부터 담장이 길게 둘러졌고 삼문(三門) 좌우에 맞배지붕의 단칸방이 각각 있다. 명륜당(明倫堂)은 맞배지붕에 정면 4칸, 측면 3칸 구조로 목부(木部)에 단.. 2022. 7. 19. 경기도 안성시 - 안성죽산리당간지주 안성죽산리당간지주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tour http://www.cha.go.kr 당간지주는 부처와 보살의 공덕과 위신을 기리는 장엄용 불교 용구인 당(일종의 깃발)을 달기 위한 당간(幢竿)을 고정해 주는 두 개의 지주대를 말한다. 주로 절의 입구에 세워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당간지주는 돌이나 철로 만든 것이지만 예전에는 목재를 많이 사용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당간지주는 보물호로 지정된 5층 석탑 앞 약 30m 떨어진 앞에 위치하고 있다. 오래 전에 왼쪽의 당간지주가 밭 가운데 도괴되어 있었던 것을 1968년 5층 석탑 복원공사 때에 현재 위치에 바로 세웠다. 당간은 양지주가 동서향으로 대치해 있으며 아무런 조각이 없고 윗부분 안쪽에 구멍을 뚫.. 2022. 7. 19. 이전 1 ··· 1758 1759 1760 1761 1762 1763 1764 ··· 235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