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240

서울 서초구 - 대성사(서울) 대성사(서울) - 홈페이지 : http://www.daeseongsa.org/ 백제는 384년(침류왕 1)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인도의 고승 마라난타 (摩羅難陀)가 동진(東晋)으로부터 바다를 건너서 서울인 한산으로 들어오자 왕은 그를 궁 안에 머물도록 하였고, 그 이듬해 10명의 백제인을 출가시켜 승려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마라난타는 서역과 중국을 거쳐 백제로 오는 동안 음식과 기후가 맞지 않아 수토병(水土炳)으로 고생하였는데, 우면산 생수를 마시고 병이 나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궁중에서 우면산으로 자리를 옮겨“대성초당(大聖草堂)”을 짓고 머물렀다고 한다. 이곳이 백제불교의 초전법륜성지(初轉法輪聖地)로 지금의 대성사다. 마라난타가 대성초당을 짓고 머무른 이후 근대까지 대성사는 많은 고승들이 머무르며.. 2022. 9. 3.
서울 종로구 -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 - 홈페이지 :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 http://www.lifeinsedu.or.kr/ 금융보험에 대해 재미있게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공간,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입니다.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는 생명보험의 기본정신인 생명존중, 상부상조를 실천하고자 생명보험사 공동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2014년 6월 개관하였습니다. 약 300평 규모의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는 태블릿PC 등을 활용해 어렵게 느낄 수 있는 금융보험 내용을 쉽게 학습할 수 있고, 미션과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은 약 2시간동안 진행되는 체험학습과 4시간동안 진행되는 진로학습이 있으며, 매년 약 4,000명의 학생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생.. 2022. 9. 3.
서울 강서구 - 구암공원 구암공원 - 홈페이지 : http://parks.seoul.go.kr/parks/ 탑산 아래의 천연적인 바위 동굴인 허가바위 일대에 조성된 공원으로, 허가바위에서 양천 허씨의 시조인 허선문이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다. 구암공원은 의성이라 불리는 허준선생 기념공원으로, 구암(龜巖)은 허준선생의 호이다. 준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그 유명한 동의보감을 저술한 곳이, 허가바위 동굴이자, 지금의 구암공원이다. 구암공원에는 올림픽대로 건설로 인해 한강의 일부분이 잘려나와 호수처럼 되었고, 아파트가 하늘 높이 솟아있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이 곳에는 의성 허준선생이 환자를 진료하는 인자한 모습의 동상이 앉아있다. 한편에는 아름다운 호수가 있고 그 호수 속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담겨 있는 고색 창연하고 구멍이 뚫려있는.. 2022. 9. 3.
서울 성동구 - 서울새활용플라자 서울새활용플라자 - 홈페이지 : http://www.seoulup.or.kr/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첫 걸음 새활용이란 버려지는 자원에 디자인을 더하거나 활용방법을 바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업사이클링(Up-cycling)의 우리말이다. 서울새활용플라자에서는 새활용 관련 전시와 새활용 실천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 디자인 스튜디오, 업사이클링 편집매장, 공방 등을 운영 중이다. 물건을 가치 있게 오래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들려보자. 또, 레스토랑, 카페, 넓은 정원도 갖추고 있어 도심 속 힐링과 사계절 피크닉 장소로도 제격이다.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길 49 ※ 소개 정보 - 체험가능 연령 : 누구나(새활용탐방 7세 이상) - 체험안내 : * 전시 : 새활용 소재 은행, 새활용 .. 2022. 9. 3.
광주 남구 - 양과동정 양과동정 - 홈페이지 : https://www.namgu.gwangju.kr/ http://www.cha.go.kr * 양과동정 * 양과동정은 양과동 고원희 가옥에서 광주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왼쪽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이름은 간원대(諫院臺) 또는 고경명(高景命)의 별서(別墅)라고도 한다. 간원대는 이곳 출신들이 간관(諫官)으로 많이 배출되어 여기에서 국사를 의논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이곳은 동약(洞約)과 향약(鄕約) 등의 시행처로도 사용되었으며, 보통 정자와는 다르게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지방자치를 위한 회합을 했던 곳이기도 하다. 또한 조정에 상소를 올릴 때에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기와집으로 바람 막는 판이 설치되어 있다... 2022. 9. 3.
광주 북구 - 광주 평촌마을 광주 평촌마을 - 홈페이지 : http://www.bandivill.net/ 평촌마을은 무등산 북쪽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동림, 담안, 우성, 닭뫼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된 아담하고 한적한 농촌마을이다. 마을 들녘에는 평무뜰이 있어 친환경 우렁이쌀을 재배하고 있으며, 마을 중심으로 흐르는 풍암천에는 도심에서는 이미 자취가 사라진 반딧불이와 무등산의 깃대종인 수달(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어 우수한 자연생태를 지니고 있는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이곳 평촌마을이 분청사기를 만들었던 곳으로, 남도의 예술적 혼을 지니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현재 마을에 있는 평촌 도예공방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 길목에는 무돌길 쉼터와 반디민박이 있어 마을을 지나는 이들과 무등산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편안한 휴식처가 .. 2022. 9.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