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충청남도 서산시 - 용장천들 용장천들서산시 운산면에 '아름다운 운산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한 꽃밭으로 샤스타데이지, 수레국화가 아름답게 피어나는 곳이다. 탁 트인 경치와 한적한 곳으로 마음을 휴식하기에 좋은 곳이며, 꽃 밭을 배경으로 사진 찍기에 좋은 장소다. - 주소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2. 10. 7.
충청남도 태안군 - 안흥항 안흥항 - 홈페이지 : http://taean.go.kr/tour.do 어촌정주생활의 중심지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 어항을 개발하여 어선·여객선의 안전정박과 원활한 어획물양육 등 어민소득증대를 위하여 어항이 개발되었다. 정죽리 새우양식장 방조제 남측 기부에서 마도 북측 표고 71m 산정과 마도 남측 돌단 산정을 연결 이곳에서 정남으로 700m 해상점과 죽도를 연결 죽도에서 정동으로 600m 해상점을 각각 연결하는 선을 따라 형성되었다. -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안흥1길 49-2 (근흥면)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41-670-2885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 2022. 10. 7.
충청남도 홍성군 - 홍성방조제 홍성방조제 - 홈페이지 : https://www.hongseong.go.kr/tour/index.do * 홍성 해안의 남쪽 끝, 홍성방조제 * 충남 홍성군 서부면 홍보로는 홍성군 서부면과 보령시 천북면을 잇는 방조제가 지난다. 홍성방조제 기념탑에 차를 세우고 천천히 걸음을 내봄 직하다. 서쪽 바다에는 안면도가 수평선 위에 거대한 섬처럼 떠 있다. 수룡포구 쪽으로 내려가면 좀더 가까이서 바다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내륙 쪽으로는 간간이 날아드는 철새들의 군무가 볼거리다. 높은 곳에서 조망하고 싶다면 방조제준공탑 쪽으로 이동한다. 홍성방조제와 죽도, 남당항 등 서해의 전경이 한눈에 가득 찬다. - 주소 :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 보령시 천북면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홍성군 문화관광과 041-6.. 2022. 10. 7.
충청남도 부여군 - 부여기와마을 부여기와마을 - 홈페이지 : http://www.부여기와마을.kr 충남 부여군 부여읍 월함로에 자리한 부여기와마을은 1년 내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농촌체험마을이다. 백제시대 기와를 구웠던 곳이라 하여 기와마을이라 한다. 나물캐기, 수박따기, 딸기따기, 오이따기, 고구마캐기, 밤줍기 등 다양한 농사체험을 할 수 있고, 미꾸라지잡기, 짚풀공예, 얼음썰매타기, 솟대만들기 같은 전통문화 체험도 흥미롭다. 백제떡만들기, 두부만들기, 다식만들기, 고구마·밤 구워먹기 같은 신토불이 맛체험은 자극적인 것에 길들여진 요즘 아이들에게 어울리는 체험이다. 이밖에 토기만들기, 기와탁본, 황포돛배체험을 통해 생생한 백제 역사를 배울 수 있다. 평화로운 마을 풍광을 감상하며 느긋하게 마을길을 산책하는 재미도 누려볼 수 있.. 2022. 10. 7.
충청남도 논산시 - 연산향교 대성전 연산향교 대성전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1878년(고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22년·1933년·1961년·1967년·1971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소장 전적은 판본 4종 17책, 사본 10종 15책이 있으며, 이 중『선생안(先生案)』·『청금록(靑襟錄)』·『.. 2022. 10. 7.
충청남도 보령시 - 보령향교 보령향교 - 홈페이지 : http://www.brcn.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1723년(경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중등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을 비롯하여 5채의 부속건물이 있다.1868·1964·1967년에 각각 중수하였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다. 그러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충청남도 문화재.. 2022. 10.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