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경상북도 포항시 - 장기향교 장기향교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1396년(태조 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에 중건되었다. 1725년(영조 1)에 현감 황익진(黃益鎭)이 마현동(馬峴洞)으로 이전하였으며, 그 뒤 고종 때 군수 김영주가 장기성(長鬐城) 내의 객관(客館)을 수리하고 위패를 봉안하여 지금의 향교로 전해오고 있다.1970년에 명륜당을 보수하였고, 1975년에 대성전 보수와 단청을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맞배지붕 겹처마에 5칸으로 된 대성전, 팔작지붕 홑처마에 7칸으로 된 명륜당,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 주사(廚舍)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우리나라 18현(十八賢).. 2022. 10. 13. 경상북도 영천시 - 영천 만취당 영천 만취당 - 홈페이지 : http://www.yc.go.kr/tour http://www.cha.go.kr 만취당은 건물은 조선 선조 때 성리학자인 지산(芝山)조호익(曺好益) 선생의 7세손이며 정조5년(1781년)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조학신(曺學臣, 1732~1800) 선생이 살던 집으로 만취당은 사랑채에 붙인 이름이다. 조선시대의 유교사상은 주택에도 영향을 미쳐 한 집안 내에서도 남녀의 처소를 안채와 사랑채로 분리하였으며 조상에 대한 제례를 중시하여 사당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 집은 안채와 중사랑채 및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사당 뒤쪽에는 신주를 모셔다 제사드리는 별묘(別廟) 및 보본재(報本齋) 등이 배치되어 사대부 저택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집 뒤의 마을을 감싸고 있는 울창한.. 2022. 10. 13. 경상북도 경주시 - 양동 서백당 양동 서백당 - 홈페이지 : http://yangdong.invil.org http://www.cha.go.kr 이 가옥은 경주 손씨 대종가인 양민공 손소(1433∼1484)가 건립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우재 손중돈(1463~1529)과, 그의 외손이며 동방십팔현으로 문묘에 배향된 이언적(1491~1553)이 태어난 곳이라 한다. 일자형의 대문채는 안에 ㄱ자형의 안채가 있고, 사랑 후원 뒤쪽 높은 곳에는 신문과 사당이 배치되었다. 종가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춘 대가실이며,사랑대청에서 바라보이는 후원의 경치 또한 가경이다. 이 집의 당호는 송청 또는 서백당이라 하며, 과거에는 이 가실(家屋)의 주위에 외거하인(外居下人)들이 거처하던 가랍집이 있었다 한다. 정원에는 그 당시에 심은 향나무가 있어 경상북도 기.. 2022. 10. 13. 경상북도 울릉군 - 국수바위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 국수바위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 울릉군청 http://ulleung.go.kr/geo 국수바위는 약 157만 년 전, 조면암질 용암 분출로 만들어진 높이 약 30m, 길이 약 300m에 달하는 거대한 바위로, 벽면에 수많은 주상절리가 국수가락처럼 긴 띠를 이루고 있다. 주상절리란, 뜨거운 용암이 공기나 물을 만나 빠르게 식을 때, 용암이 수축하면서 각진 기둥 형태로 갈라져 만들어진 틈을 말한다. 우산국의 우해왕은 사랑하던 왕후(풍미녀)가 죽자, 이를 슬퍼하며 국수바위(비파산)에 병풍을 치고 백일 제사를 지내고 열 두 시녀에게 매일 비파를 연주하게 했다고 전해진다. - 주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울릉군청 환경위생과 054-790-6182 지.. 2022. 10. 13. 경상북도 경주시 -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 홈페이지 : http://www.gyeongju.go.kr/tour 경주 벽도산의 서쪽을 향한 바위에 삼존불(三尊佛)을 조각한 마애불(磨崖佛)이다. 이 불상은 가까운 곳에 있는 굴불사지 석불상(보물 제121호)의 양식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서방 극락세계를 다스린다는 아미타불을 가운데에 새기고, 양쪽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새겼다. 아미타불의 머리는 아주 큼직하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낮게 있어 모자를 쓴 듯한데, 이는 굴불사지의 석불상과 같은 양식이다. 얼굴은 볼에 살이 올라서 매우 풍만하게 보이며 미소가 남아 있다. 어깨는 넓고 반듯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얇게 표현되어 몸의 굴곡을 잘 드러낸다. 오른손은.. 2022. 10. 13. 경상북도 청송군 - 청송 장전리 향나무 청송 장전리 향나무 - 홈페이지 : http://www.cs.go.kr/tour.web http://www.cha.go.kr 영양 남씨의 무덤 옆에 위치한 청송 안덕면의 향나무는 나이가 4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7.4m, 둘레 4.2m이다. 줄기는 지면에서 1m 정도 올라가서 네 개로 갈라졌으며, 나무의 키는 비록 작으나 밑 둘레가 굵고, 가지가 넓게 뻗어 자라고 있다.청송 안덕면의 향나무는 무덤 옆에 심어져서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문화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 주소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 산 18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4-870-6063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 2022. 10. 13. 이전 1 ··· 767 768 769 770 771 772 773 ··· 151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