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경상남도 밀양시 - 수산제 역사공원 수산제 역사공원 - 홈페이지 : https://www.cha.go.kr/ 삼한시대 3대 수리시설 중 하나로 전북 김제 벽골제, 충북 제천 의림지와 함께 밀양 수산제가 있다. 교과서에만 나오던 밀양 수산제는 지난 1986년에 수문을 비롯한 여러 흔적이 발견됐고, 그 후 복원 추진을 논의했으나 오랫동안 중단돼 왔다. 그러나 2017년부터 밀양시가 본격적으로 정비복원사업을 시작해 마침내 올해 '수산제 역사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힐링공간이자 탐방 공간으로 완공했으며, 다양한 식물과 농업의 이해를 돕는 체험공간 등이 있어 아이들의 자연탐구교실로도 손색이 없다. - 주소 :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 927 ※ 소개 정보 - 수용인원 : 약 100명 - 체험가능 연령 : 연령무관 - 체험안내 .. 2022. 10. 13. 경상남도 양산시 - 가야진사 가야진사 - 홈페이지 : http://www.yangsan.go.kr/tour 가야진사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목조로 된 맞배지붕 건물이다. 김해시 상동면과 양산시 원동면 경계의 낙동강 동쪽에 있다. 원래는 용당리의 비석골에 있었으나 1965년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왔다.나루터신(津神)을 모시고 있는 제당으로, 신라가 가야(伽倻)를 정벌할 때 왕래하던 나루터가 있던 곳에 자리하고 있다. 앞면 1칸·옆면 1칸으로 구성되어 있고, 옆면에서 볼 때 지붕 선이 ‘사람인(人)’자 모양과 비슷한 맛배 지붕을 올린 목조건축물이다. 내부로 들어서면 제를 올릴 때 사용하는 제상이 있고, 그 위에 머리가 셋인 용을 그려 놓은 그림이 놓여 있다. 현재의 사당은 조선 태종 6년(1406)에 세운 것으로 전하며, 옛 건축물로서.. 2022. 10. 13. 경상남도 통영시 - 당포성지 당포성지 - 홈페이지 : http://www.utour.go.kr http://www.cha.go.kr 통영은 고성반도 끝자락과 미륵도, 한산도를 비롯한 부속 섬 40여개로 이루어진 고장이다. 1995년 충무시와 통영군이 통합돼 통영시가 됐다. 통영이란 이름은 수군통제사가 머문 통제영이 있던 자리라는 데서 비롯됐다. 당포성지는 통영 미륵도의 산양읍 삼덕리 야산의 능선을 따라 축성된 산성으로 길이 약 750m의 성지가 남아 있다.자연석 이중기단에 높이 약 2.7m, 약 4.5m의 폭으로 쌓은 이 성벽은 고려·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석축진성으로 고려 말 최영 장군이 왜구의 침입에 대비코자 군사와 백성들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전한다. - 주소 :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삼덕리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55.. 2022. 10. 13. 경상남도 고성군 - 고성향교 고성향교 - 홈페이지 : http://visit.goseong.go.kr http://www.cha.go.kr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여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7년 현령 정여린(鄭如麟)과 도감(都監) 이현(李顯) 등에 의해 중건되었다. 1726년(영조 2) 고성군이 통영군과 합쳐짐에 따라 향교도 통영군 선도면 죽림리로 이전되었으며, 1876년 군이 환원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다시 이건하고, 1984년에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동무(東廡)·서무(西廡)·풍화루(風化樓)·수복청(守僕廳)·전사청·내삼문(內三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송조2현(宋朝二賢)의 위패가, 동무·서.. 2022. 10. 13. 경상남도 함양군 - 황석산 황석산 - 홈페이지 : 함양 문화관광 http://www.hygn.go.kr/tour.web 황석산(1192.5m)은 남덕유산 남녘에 솟은 범상치 않은 바위산이다. 백두대간 줄기에서 뻗어내린 네개의 산 기백, 금원, 거망, 황석 가운데 가장 끝자락에 흡사 비수처럼 솟구친 이 봉우리는 덕유산에서도 선명하게 보인다. 가을철에는 거망에서 황석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광활한 억새밭이 장관이다. 금원, 기백산과의 사이에는 그 유명한 용추계곡이 있다. 6.25때 빨치산 여장군 정순덕이 활약했던 곳이 바로 이웃의 거망산이다. 황석산성은 함양땅 안의.서하 사람들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정유재란 당시 왜군에게 마지막까지 항거하던 이들이 성이 무너지자 죽음을 당하고 부녀자들은 천길절벽에서 몸을 날려 지금껏.. 2022. 10. 13. 경상남도 사천시 - 사천고읍단감마을 사천고읍단감마을 - 홈페이지 : http://goeup.invil.org 사천시 정동면 고읍리에 자리한 정보화마을이자 녹색농촌체험마을로 마을 주민의 80%가 단감 농사를 짓고 있으며, 특산품으로 단감을 비롯해 감식초, 감잎차가 있다. 사천 고읍단감마을은 사천시 정동면소재지로서고려시대 이래 조선 초기까지 읍기(관청이 있는 곳)가 있던 곳이다. 그런데 세종 을축년(1445년) 봄에 사천읍성을 쌓고 읍기를 천도해 가면서 자연히 구읍, 읍촌, 고읍촌, 고읍동 따위로 불렸다. 1914년에는 읍동면이 되면서 면소재지가 되었고, 1931년에 지금의 정동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34년에는 면소재지를 지금의 대곡리숲으로 옮겨, 오늘과 같은 한적한 마을로 바뀌었다. 동쪽에는 널따란 들녘을 경계로 대곡리와 수청리, 남쪽.. 2022. 10. 13. 이전 1 ··· 763 764 765 766 767 768 769 ··· 151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