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전라남도 나주시 - 정열사비 정열사비 - 홈페이지 : http://www.naju.go.kr/tour http://www.cha.go.kr * 김천일 선생과 나주의 충절을 모신 사당, 정열사 * 정열사는 임진왜란 때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 선생을 비롯한 나주의 충절 인물 다섯 분을 모신 사우이다. 정열사가 최초로 건립된 것은 선조 39년(1606년)으로서 현 나주고교 뒷편 월정봉 아래에 위치했다가 이듬해인 1607년 정열사로 사액되면서 사우를 현 나주잠사공장 부근으로 옮겼다. 이후에도 여러 번 자리를 옮기고 보수를 거치면서 1984년 현재의 대호동 위치에 자리잡게 되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 반의 규모로서 팔작지붕이고, 내삼문과 외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 평대문이다. 정열사비는 인조 4년(1626년.. 2022. 10. 25.
전라남도 장흥군 - 장흥 사인정 장흥 사인정 - 홈페이지 : http://www.jangheung.go.kr/tour http://www.cha.go.kr 조선 세종때 의정부 검상사인, 전라도감찰사, 이조참판을 지내다 단종때에(계유정란(癸酉靖亂)으로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관직을 그만 두고 낙향을 한 영광 김씨 필이란 분이 이곳 강가에 북쪽을 바라보며 임금을 그리는 뜻으로 겨울이면 설암벽에 단종의 진영을 그리면서 그 옆에 정자를 지었는데 이 건물을 사인정이라 했다. 산수가 절기한 곳에 세워져 있는데 뒷면에는 산이 둘러 있고 전면에는 강물이 흐르는 자연경관을 잘 이용한 정자이다. 잡석으로 된 나직한 기단을 구축하고 약간 다듬은 정평형 주춧돌 위로 민흘림의 원형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로는 포작없이 평주로 연결되었는데 특이한 것은 중앙칸은 창방.. 2022. 10. 25.
전라남도 순천시 - 순천향교 순천향교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1407년(태종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50년에 이건하였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며, 1801년(순조 1)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東廡)·서무(西廡)·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풍화루·수호실 등으로 되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와 보름.. 2022. 10. 25.
전라남도 화순군 - 대리칠충각 대리칠충각 - 홈페이지 : http://www.hwasun.go.kr/index.do? S=S09 화순읍 대리에 있는 칠충각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때 화순에서 의거한 평택 임씨 칠종 형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고종 13년(1876)에 건립한 것이다. 병자호란 때 의거한 인물은 임시계, 임시태, 임시민, 임시운, 임시준, 임시익, 임시약 등으로, 이들 종형제는 화순의병과 함께 청주까지 진군하였으나, 인조임금이 청의 태종에게 항복한 소식을 듣고 국가에 충성하지 못함을 통탄하고 귀향하여 은거생활을 하다가 일생을 마치니 고종 13년 (1876)에 이들의 충성을 높이 치하하여 벼슬을 추증하였는데, 임시계에게 예조참의(정삼품), 임시태에게 좌승지, 임시민에게 예조참의, 임시운에게 호조참의, 임시준에게 좌.. 2022. 10. 25.
전라남도 여수시 - 은적사(여수) 은적사(여수) -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eunjeoksa 천왕산 은적사는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 4번지 천왕산 동쪽 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 19교구 본사인 화엄사에 등록된 사찰이다. 은적암이 승주 송광사 말사로 있다가 무오년(1976) 7월에 구례군 지리산 화엄사 말사로 편입되면서 은적암을 은적사로 사격을 높였다. 은적사는 중봉산 중턱에 있으며 1195년(명종 25)에 보조국사가 남면 금오도에 송광사를 짓고, 순천 선암사를 오가면서 중간 휴식처로 세웠다고 한다. 계곡을 흐르는 물이 밤이면 큰 물소리로 들릴 정도로 조용하여 은적사라 하였다고 한다. 절 뒤편에 있는 바위가 병풍을 두른 것 같으며 주변에 소나무가 많아 여름에는 시원하다. 후박나무, 동백나무 숲 속.. 2022. 10. 25.
[서울특별시 용산구] K귀신잔치 K귀신잔치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홈페이지 : www.museum.go.kr - 전화번호 : 02-2077-9000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 저녁,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 거울못 일대에 한국 전통귀신이 등장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박물관이라는 공간에 다양한 세대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박물관 정문쪽과 야외정원에서 마음껏 놀 수 있는 축제인 “K귀신잔치”를 마련했다. MZ세대가 직접 기획을 주도한 “대박쌈박! 국중박” 프로젝트의 하나인 “K귀신잔치”는 거울못 일대를 돌아다니는 귀신과 함께 DJ 라이브 공연부터 푸드트럭까지 즐길 수 있는 시간이다. (10월 29일(토), 오후 6시~9시/무료입장) 이번 프로젝트의 마지막 행사인 “K귀신잔치”에 참여하여.. 2022. 10.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