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전라남도 장성군 - 죽림서원 죽림서원 - 홈페이지 : https://www.jangseong.go.kr/home/tour_new/ http://www.cha.go.kr 심은 이수를 주향하고, 1590년(선조 23)에 향내 유림들의 발의로 장성군 진원면 죽림동에 창건하였으나 1597년 정유재란에 병화로 소실되었다. 그 뒤 1814년(순조 14)에 본손이 북이면 부동에 이건하면서 정재 윤홍을 추배하였다. 1868년(고종 5)에 서원훼철령에 의해 훼철되었으나, 1946년 현재 위치에 다시 건립하였다. 제향은 매년 3월 4일에 행한다. - 주소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만무부동길 3-14 (북이면)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61-393-1600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2022. 10. 25.
전라남도 강진군 - 해남윤씨 추원당 해남윤씨 추원당 - 홈페이지 : http://www.gangjin.go.kr/culture/index.do http://www.cha.go.kr 추원당은 해남윤씨 덕정동파의 직계 선조인 통찰공 윤사보와 병조참의 윤경을 향사하기 위해 1649년(인조 27) 고산윤선도 (1587~1671)가 주축이 되어 건립한 제각이다.정면 5칸, 측면 2칸의 단층건물로 내부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며, 지붕 네 귀에는 활주를 세웠다. 기와는 막새기와를 사용한 한와이다. 초석은 커다란 막돌초석이며, 기둥은 원통형 내지는 약하게 배흘림을 둔 두리기둥을 사용하였다. 공포는 창방위치에서 쇠서 하나를 낸 초익공식으로 밑면이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가구는 전후 평주위에 대양을 걸고 그 위로 주도와 첨차가.. 2022. 10. 25.
전라남도 함평군 - 함평 용월리 지석묘군 함평 용월리 지석묘군 - 홈페이지 : https://www.hampyeong.go.kr/tour/ * 거석문화의 대표 고인돌, 용월리 지석묘군 * 1995년 12월 26일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영산강의 지류인 고막원천 주변에 총 16기가 한 군데에 밀집해 있다. 고인돌은 선돌과 함께 거석문화(巨石文化)를 대표하는 유적으로 전세계적인 분포를 보인다.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고인돌은 돌방[石室] 이 지상에 있는 북방식(탁자식)과 지하에 있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지하에 있는 것은 받침돌[支石]이 있는 남방식과 받침돌이 없는 개석식(蓋石式)으로 구분된다. * 용월리 지석묘군의 형태 * 용월리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축조되었다. 총 16기 가운데 12기가 받침돌이 보이는 남방식 .. 2022. 10. 25.
전라남도 담양군 - 무월마을 무월마을 - 홈페이지 : http://www.moowol.kr/ 깨끗한 냇가와 친환경 농산물이 재배되는 무월마을은 녹색농촌 행복마을로 지정되어 정취 넘치는 돌담길 걷기 체험과 오감을 만족시키는 송림 산책로 체험, 달빛 전망대의 대경관 관찰 체험등이 고향의 정서를 더욱 더 살려주고 계절별 농사체험과 제다,허수아비 만들기, 돌탑쌓기, 연못 촛불 소원체험, 농악놀이, 토우 만들기 체험 등을 신나고 즐거운 시간으로 만족을 주는 마을의 상징적인 체험들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그리고 20여동의 공동 및 개별 한옥 체험은 자연속에 느끼는 여유와 휴양 휴식의 색다른 체험이 되고 있고 논길 따라 고살길 따라 트랙터 한바퀴 신바람 체험 등은 잊을 수 없는 추억 체험이 될 것이며, 골목 갤러리 마을 축제는 상상을 유발시키.. 2022. 10. 25.
전라남도 영광군 - 낙월도 낙월도 - 홈페이지 : http://tour.yeonggwang.go.kr 백제시대에는 무시이군의 고록차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염해현,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는 임치현에 속했으며 진달이섬, 반월도, 대낙월도, 진원도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조선시대에는 반월도 국영목장을 설치 40필의 말을 방목한 기록이 있다. 1895년 지도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광군에 편입되었다. 현풍곽씨가 16세기 말경 처음으로 입도하여 14대째 살다가 1988년 모두 외지로 나갔다. 달이 지는 쪽에 있다하여 진달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한자어로 표기하면서 낙월도가 되었다. 1895년 지도군에 편입되면서 윗쪽에 있는 섬이라 하여 상낙월도라 부르게 되었다. 구비전승으로는 큰애기고랑, 농바위와 널바위 등 설화와 .. 2022. 10. 25.
전라남도 고흥군 - 백일도 백일도 - 홈페이지 : https://jinan.go.kr/tour/ 백일도는 조선시대에 전라좌수영 밑의 여도진(점암면 여호리)에 속하였다. 진이 없어진 뒤에 돌산군 옥정면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고흥군 남면(현 과역면)에 소속되었다. 조선 후기의 문헌에는 박길도라 하여 흥양현 북쪽 50리 바다에 있으며 섬의 둘레가 50리라 기록되어 있다. 조선조 선조때부터 영조때까지 이(李)씨, 최(崔)씨, 오(吳)씨 등의 3성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섬안에 일월명지가 있어 밝고 흰것을 나타낸다는 뜻으로 '해나리'라고 불리우다 한자로 백일도라 하였다. 주민들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 주소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백일길 315-4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61-.. 2022. 10.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