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89

대전 동구 - 백골산성 백골산성 - 홈페이지 : 대전 관광 https://www.daejeon.go.kr/tou/index.do 백골산(340m)의 정상부에 테뫼식으로 쌓은 석축산성이다.면적은 4,343㎡이고, 성 둘레는 약 400m이다. 백제의 전략거점인 계족산성(鷄足山城)과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옥천에 있었던 신라의 성인 관산성(管山城)과의 사이에 있어 축성 당시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백골산성은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유명하며,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은 마치 바다풍경과 같다고 하여‘ 내륙의 다도해’라 불러지고 있다.초입에서 약 2시간 정도를 걸어 정상에 올라가면 소나무 한그루를 만날 수 있으며, 그 자리에서 펼쳐진 아름다운 전경은 지나가는 나그네의 바지자락을 잡아 한번 쯤 머무르게 만든.. 2022. 10. 31.
대전 유성구 - 유성 족욕체험장 유성 족욕체험장 - 홈페이지 : http://tour.yuseong.go.kr/index.yuseong 대전 유성온천지구 내 유성족욕체험장은 섭씨 40도의 천연 온천수가 공급되는 노천족욕장이다. 2만 778㎡ 규모의 4개 족욕장에서 동시에 200명이 족욕을 즐길 수 있다. 이 족욕체험장은 대전을 방문한 관광객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온천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대전 유성구에서 수질 관리와 청결에 신경을 써 마음 놓고 족욕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족욕을 하기 전에 발을 깨끗이 씻는 장소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발과 다리를 뜨거운 물에 담그는 족욕은 혈액순환에 좋고, 스트레스와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좋은 목욕법이다. 이곳은 특히 어르신들이 즐겨 찾는다. - .. 2022. 10. 31.
대전 유성구 -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 홈페이지 : http://www.kimm.re.kr 붕 띄워 슝~ 자기부상열차를 타 보자! 이곳에서는 한국 기계기술 분야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인이 흥미롭게 느끼는 개발 성과는 자기부상열차이다.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홍보관을 견학하고 연구원에서 개발한 자기부상열차를 시승해 본다.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북로 156 (장동) ※ 소개 정보 - 수용인원 : 1회 30명 - 체험가능 연령 : 개인 및 단체(초등학교 고학년 이상) - 체험안내 : ·프로그램 : 연구원 홍보영상 상영 → 홍보관 견학 및 연구성과 소개 → 자기부상열차 시승 ·신청방법 : http://www.kimm.re.kr > 고객참여 > 견학신청 - 문의 및 안내 042.. 2022. 10. 31.
대전 대덕구 - 금강로하스대청공원 금강로하스대청공원대청댐 시민휴식공원인 대청공원은 도시민의 건전한 여가생활과 보건휴양 및 공공복리 증진을 위하여 조성한 자연생태공원으로 현장학습, 가족나들이, 기업 및 단체의 야유회등 친목 도모의 공간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전국의 명소이다. 하늘을 찌를 듯이 곧게 뻗은 웅장한 메타세콰이어 숲속쉼터에서는 삼림욕과 여유로운 휴식도 즐길 수 있고, 사계절 내내 가지각색의 아름다운 풍경과 낭만이 있는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편안하고 쾌적한 친환경적 시민 휴식 공원이다. - 주소 :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청로 607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42-608-5573 - 주차시설 : 주차가능 - 쉬는날 : 연중개방(대청문화전시관 매주 월요일 정기휴관) - 이용시간 09:00~18:00 - 이용가능시설 : .. 2022. 10. 31.
대전 유성구 - 수운교도솔천 수운교도솔천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 우리나라 고유의 종교를 배운다, 수운교천단 * 수운교천단은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가, 1999년 5월 26일 대전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수운교천단은 1929년 4월 15일에 세워진 목조건물로서 수운교의 상징적인 건물이다. 수운교는 동학을 일으킨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를 교조(敎祖)로 하여 하느님을 숭배하는 종교로서 한때 교세가 왕성하여 본부를 서울에 두었으나 교조 문제로 천도교(天道敎)와 의견 차이가 생겨 이곳에서 1923년에 창건하였다. 이 천단은 하느님을 숭배하는 곳으로 도솔천(逃率天) 현판을 걸었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 다포계집으로 건물의 설계는 교주 이상룡(李象龍)이 한 것.. 2022. 10. 31.
대전 서구 - 용화사(대전) 용화사(대전)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마곡사에 속한 말사이다. 본래 용화사는 충남 논산군 두마면 용동리 533-1번지에 소재하였던 절로써 신라 제 27대 선덕왕 때 영포화상에 의해 처음 세워졌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관음사(觀音寺)라 불렀다 한다. 그 후 태조2년 무학국사가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버렸다. 조선시대 말기에 황해도 해주에서 온 홍응은이란 비구니스님이 옛 터에 다시 짓고 이름을 금륜사(金輪寺)로 바꾸었다. 1946년 대강사인 김경봉 스님이 다시 절 이름을 용화사(龍華寺)로 바꾸어 오늘에 이른다. 1978년 법당이 붕괴되자 현 주지 갈영진 스님이 다시 지었다. 당시의 용화사는 동학사, 갑사,신원사,구룡사와 함께 계룡산의 5대 사찰로 불릴 만큼 큰절이었다. 그러나 육군본부를 비롯한.. 2022. 10.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