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내 여행9078 제주도 서귀포시 - 갯거리오름(갯그르) 갯거리오름(갯그르)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1100도로변에 위치한 거린사슴 동측으로 이어져 있는 오름으로, 거린사슴과 1100도로의 가파른 고갯길을 사이에 두고 갈리어 있는 별개의 원추형 화산체이다. 거린사슴 중턱의 1100도로가에서는 운전자들이 쉴 수 있는 간이 휴게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제주도 남서부지역의 풍광은 물론 서귀포시에서 부터 모슬포 해안까지의 바다경치를 만끽할 수 있는 전망대가 되고 있다. 갯거리오름으로 불리우고 있는 오름이 한림읍 명월리 문수동 동쪽에도 있다.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100로 (대포동)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제주관광정보센터 064-740-6000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 2022. 12. 7. 제주도 서귀포시 - 후곡악 후곡악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전사면에 부분적으로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고 그외 지역은 풀밭을 이루고 있다. 산 모양이 뒤로 굽어 있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한자로는 뜻을 빌어 後曲岳, 後俯岳, 九分岳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궁대악, 돌미, 낭끼, 좌보미 등전장 600m의 등성마루가 구부러지며 화구를 감싸안고 서 서남향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로 초승달 모양을 이루고 있다. 화산체 형성 당시 원형 분화구에서 서쪽부분이 침식되어 없어진 형태로 보인다. (표고 : 206.2m 비고 : 36m 둘레 : 1,188m 면적 : 54,168㎡ 저경 : 389m)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주동로 (수산리) 일대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 2022. 12. 7. 제주도 제주시 - 흙붉은오름 흙붉은오름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한라산국립공원내에 제주시 아라동과 조천읍 교래리의 경계에 위치한 오름으로, 한라산 백록담을 중심으로 동부 산록상에서는 가장 높고, 한라산 정상에 가장 가까운 오름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화구 방향에 속칭 숫오름이라 불리는 돌오름이 마주해 있다. 화구의 잔디로 된 사면에는 시로미, 그 아래로 구상나무 등 고산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오름 등성마루에서는 흰진달래 자생목이 발견된 바 있다. 돌오름(숫오름)과 비교하여 옥문형이라 일컬어지는 말굽형화구 깊숙한 곳에는 샘이 있는데, 이 샘은 기생화산 화구내의 샘으로서는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해 있는 샘이다. ※ 오름명의 유래오름의 흙이 매우 붉음.. 2022. 12. 7. 제주도 서귀포시 -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 홈페이지 : https://www.visitjeju.net/kr/ 예전 정의(성읍) 고을에서 여인숙으로 사용하였던 곳이다. 19세기초에 세운 것으로 보이며 정의향교와 이웃해 있다. 안채(안거리)와 헛간채를 둔 단촐한 구성의 집으로 지금도 주민들 사이에서는 '여관집'으로 불린다. 문을 들어서면 왼쪽 곁으로 헛간채, 그 앞 마당을 가로질러 안채가 있다. 안채 뒤편에는 넓은 텃밭과 수목들이 우거져 집 주변과 안의 경치를 조화롭게 꾸미고 있다. 안채는 한라산 산남지역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3칸 집이다. 앞에서 볼 때 왼쪽부터 부엌, 대청, 안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엌 뒤쪽에 작은방, 안방 뒤쪽에 곡물을 쌓아 두던 '고팡'을 마련하였다. 대청마루와 안방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두었.. 2022. 12. 7. 제주도 제주시 - 가메창(암메) 가메창(암메)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 전화번호 : 064-728-2742 저지오름 남서쪽 기슭 자락 도로변에 가마솥 모양으로 패여 있는 원형분화구를 품고 있는 자그마한 오름으로, 마을에서는 분화구가 솥바닥처럼 생겼다 하여 가메창이라 부르고 있다. 한경면 저지리 저청초등학교 사거리에서 수동 방향으로 조금 가면 도로 우측에 위치해 있어, 해송이 있는 언덕 위로 몇발자국만 오르면 분화구를 볼 수 있다. 분화구는 둘레가 약 300m, 깊이가 16m 정도로 외륜의 사면경사인 비고(6m)보다 더 깊이 패여있는 형태이다. 오름은 잔디밭 등성이로 곱게 둘러져 있고, 오름옆에 있는 외딴 민가로 들어가는 돌담을 넘는 순간 고운 잔디밭과 듬성듬성한 해송 사이로 움푹패.. 2022. 12. 7. 제주도 서귀포시 - 구두리오름 구두리오름 - 홈페이지 : 제주 문화관광 http://www.visitjeju.net/ - 전화번호 : 064-760-2911 제동목장 관리사무소와 경주마육성목장 사이에 위치한 오름으로, 제동목장안으로 들어가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행정구역상 조천읍 교래리와 표선면 가시리의 경계가 산체를 동서로 양분하고 있다. 이 오름은 꽤높고 가파른 사면을 이루면서 동쪽으로 깊숙이 패이고, 아래쪽으로 좁게 비탈지면서 위쪽으로는 둥글고 넓적하게 우묵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는 것이, 처음에는 원형이던 산정화구가 동쪽으로 침식되어 말굽형 화구를 이룬 것으로 추측된다. 오름 기슭에는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고, 화구 및 각사면은 해송과 낙엽수림이 우거져 자연림의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어원 - 산 모양이 개(狗).. 2022. 12. 7. 이전 1 ··· 540 541 542 543 544 545 546 ··· 151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