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거제시 관광지 목록 - 외도 보타니아, 거제도, 바람의 언덕, 거제자연휴양림, 지심도, 학동흑진주몽돌해변, 거제도 해금강, 구조라해수욕장, 해금강유람선,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
외도 보타니아 - 홈페이지 : http://www.oedobotania.com/ 1971년에 당시 통영군 용남면과 거제군 사등면 사이의 견내량해를 잇는 거제대교가 세워졌다. 이 교량의 등장으로 인해 거제도는 섬 신세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거제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동부와 남부에 끼고 있어 사철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한다. 외도해상농원은 30년 전 한 개인이 섬을 사들여 정성을 들여 관광농원으로 꾸며, 현재는 약 4만 5천여평의 동백숲이 섬 전체를 덮고 있으며, 선샤인, 야자수, 선인장 등 아열대식물이 가득하고 은환엽유카리, 스파리티움, 마호니아 등 희귀식물이 눈길을 끈다. 편백나무 숲으로 만든 천국의 계단과 정상의 비너스 공원도 이채롭다. 연산홍이 만발하는 4월에는 화려한 ..
2022. 4. 29.
경상남도 통영시 관광지 목록 - 욕지도 (유동어촌체험마을), 사량도, 해저터널(통영), 매물도, 소매물도, 비진도해수욕장, 미륵산(통영), 동피랑마을, 연화도(통영), 남망산 조각공원, 통영케이..
욕지도 (유동어촌체험마을) - 홈페이지 : http://www.utour.go.kr \nhttp://유동어촌체험마을.kr/ 욕지면은 본래 옛가야의 영토로 이전에는 고자미동국의 영토였으며, 6가야 중 수로의 막내 동생인 말로가 지배하던 소가야(지금의 금성)에 속하였고,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독로국, 고자군 고성군 지역이었다. (柳洞)[몽돌개] 개척당시 고성에서 흉년으로 살길이 막연하던 철성이씨가 풍선을 타고 욕지도로 왔으나, 지금의 면소재지에는 가시덤불 뿐이라서 이곳으로 들어와 정착하였다. 안땀(內村), 외촌, 양판기미, 삼여(삼여땀)등 4개의 자연부락이 총칭인데 옛날 이곳에 버들이 자생하였다 해서 유동이라 일컬었는데 몽돌개란 지면은 유동의 중심지에 양유교가 있는데 양유교 주변의 갯가에 깨끗한 몽돌..
2022. 4. 29.
경상남도 산청군 관광지 목록 - 황매산(산청), 남사예담촌, 중산리자연휴양림, 지리산 천왕봉, 대원사계곡, 백운동계곡(산청), 경호강, 지리산국립공원(산청), 대원사(산청), 지리산참숯굴찜질..
황매산(산청) - 홈페이지 : 산청 문화관광 http://www.sancheong.go.kr/tour/index.do - 전화번호 : 055-970-6421~3 * 무학대사가 수도하던 산, 황매산 * 태백산맥(太白山脈)의 마지막 준봉인 황매산은 고려시대 호국선사 무학대사가 수도를 행한 장소로서 경남 산청군 차황면의 황매봉을 비롯하여 동남쪽으로는 기암절벽으로 형성되어 작은 금강산이라 불리울만큼 아름답다. 정상에 올라서면 주변의 풍광이 활짝 핀 매화꽃잎 모양을 닮아 마치 매화꽃 속에 홀로 떠 있는 듯 신비한 느낌을 주어 황매산이라 부른다. 황매산의 황(黃)은 부(富)를, 매(梅)는 귀(貴)를 의미하며 전체적으로는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또한 누구라도 지극한 정성으로 기도를 하면 1가지 소원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2022. 4. 29.
경상남도 합천군 관광지 목록 - 해인사(합천), 오도산자연휴양림, 가야산국립공원(홍류동,청량동지구), 합천호, 홍류동계곡, 황매산군립공원, 황계폭포, 악견산, 백련암(합천), 농산정, 합천 영..
해인사(합천) - 홈페이지 : 해인사 http://www.haeinsa.or.kr ☞ 템플스테이 보러가기 우리나라 3대 사찰의 하나로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순응, 이정 두 스님이 창건하였으며, 화엄경의 해인삼매에서 연유되어 법보종찰로도 유명하다. 고려 태조는 이 절에 머물렀던 희랑이 후백제 견훤을 뿌리치고 도와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이 절을 고려의 국찰로 삼고 전지 500결을 하사했다. 해인사는 법보종찰이요, 화엄십찰의 하나이다. 최치원의 가야산 해인사선안주원벽기에 의하면 해인사는 순응, 이정 스님에 의하여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창건되었는데, 그때 왕의 조대비 성목태후가 대시주였다고 한다. \'해인\'이란 화엄경의 \'해인삼매\'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인사는 화엄사상을 천명하고자 이루어진 ..
2022.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