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3916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시 무궁화공원 세종시 무궁화공원 세종시 무궁화공원은 세종시 연기면 세종리에 자리 잡고 있다. 공원에는 홍단원과 청단원 등의 무궁화를 주제로 한 무궁화 색채원을 비롯해 300여 종의 무궁화 품종을 살펴볼 수 있는 무궁화 품종원, 갖가지 수목이 식재된 조형미로원, 세계 각국의 나라꽃이 있는 세계 국화원, 숲속 휴게 공간인 무궁화 휴게 정원 등이 갖춰져 있다. 공원 인근에는 전월산 국민 여가 캠핑장이 있다. -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646-1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44-301-3901 - 주차시설 : 주차가능 - 쉬는날 :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화장실 : 가능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 2022. 5. 10. 서울 중구 - 덕수궁 덕수궁 - 홈페이지 : http://www.deoksugung.go.kr 사적 덕수궁은 본디 왕궁이 아니었다. 원래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1454∼1488)의 집이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 때 왕궁이 모두 불타서 1593년 행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선조임금은 의주로 피난갔다가 한양으로 환도한 뒤 덕수궁에서 머무른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1608년 이곳 행궁에서 즉위한 후 1611년 행궁을 경운궁이라 고쳐부르고 7년동안 왕궁으로 사용하다가 1615년에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이곳에는 선왕인 선조의 계비인 인목 대비만을 유폐시켰다. 1618년에는 인목대비의 존호를 폐지하고, 경운궁을 서궁이라 낮추어 부르기도 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인조가 이곳 즉조당에서 즉의하고 창덕궁으.. 2022. 5. 10. 서울 관악구 - 약수사(서울) 약수사(서울) - 홈페이지 : http://blog.naver.com/yaksusablog 약수사(藥水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에 속해있는 사찰로써 산세가 수려하고 숲이 많아 일찍이 남쪽의 금강산으로 불리웠으며 기암괴석이 장대하며, 골이 깊은 경기 오악(五嶽)의 하나인 관악산 언저리 신림동에 위치해 있다. 본래 신림동은 마을에 숲이 무성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조선시대까지 경기도 시흥군이었다가 1963년에 서울에 포함되었다. 최초 창건연대는 세종대왕 3년에 무명대사가 창건하였다. 그후(고종 17년)에 명성왕후가 법당을 중창하여 영험한 기도 도량으로, 신심 깊은 기도처로, 시주의 발길이 끝없이 이어졌다고 한다. 그 뒤 1923년경에 화재로 인하여 전소된 것을 당시 주지스님인 영원 대사께서 다시 불사를.. 2022. 5. 10. 서울 동대문구 - 청계천 버들습지 청계천 버들습지 * 유니세프 선정 어린이 다리 * 청계천 물길은 복원 구간의 마지막에 이르러 두물다리를 지나 고산자교로 향한다. 두물다리는 과거 청계천의 지류가 합류하던 지점이었다. 그 의미를 살려 두 개의 물이 만나는 다리라는 뜻의 두물다리라는 이름을 붙였다. 형상도 두 개의 물줄기가 손을 잡듯 곡선을 그리며 만나는 모습이다. 먼발치에서 보면 탑신이 마치 돛처럼 솟아 돛단배를 떠올리게 한다. 그 생김이 동화적이라 유니세프에서 어린이 다리로 지정했다. 두물다리를 지나면 고산자교로 잇는 물길이다. 도심에서 멀어지므로 점점 생태공원의 표정을 닮아간다. 고산자교는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의 호를 따서 지었다. 고산자교 인근에는 고산자로가 지난다. 교각의 모양새보다는 하천 경관의 녹지가 단절되는 것을 극복하려는.. 2022. 5. 10. 서울 강동구 - 고덕동 생태경관 보전지역 고덕동 생태경관 보전지역 - 홈페이지 : http://hangang.seoul.go.kr 고덕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서울지역에서 자연성이 높은 지역으로 고덕수변생태복원지와 연접하고 있으며 고덕지천부터 암사취수장 우측산림지역 일부와 호안 및 한강 저수부지까지 포함하는 구역이다. 고덕수변생태복원지역 중 조류관찰소 등 일부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강의 자연 생태를 복원하고 인근 산림지역과 연계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있으며, 시민들에게 여가 및 생태체험 학습장소로 제공되고 있다.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396번지 일대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2-3780-0848 - 주차시설 : - 이용시간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 2022. 5. 10. 서울 성북구 - 내원사(서울) 내원사(서울) - 홈페이지 : http://www.naewonsa.net 내원사는 북한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수많은 사찰 가운데 하나로, 정릉 골짜기를 지나 1km 정도 오르면 멀리 목멱산을 바라다 보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터전이 예사롭지 않음을 느낄 수 있다. 역사적으로 내원사의 존재를 밝혀주는 것은 현재로서는 김정호가 제작한 「수선전도(首善全圖)」와 1859년(철종 10) 만들어져 사찰에 전하는『백의대사불도(白衣大士佛圖)』라는 목판이 유일하다. 수선전도에는 현재 내원사가 자리한 곳과 같은 위치에 내원암이 표시되어 있고, 『백의대사불도(白衣大士佛圖)』목판에는 삼각산내원암(三角山內院庵)이라는 기록이 있어 19세기 전반만 해도 법등을 이어오고 있었.. 2022. 5. 10. 이전 1 ··· 1834 1835 1836 1837 1838 1839 1840 ··· 232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