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4155

대구 달성군 - 예연서원 예연서원 - 홈페이지 : https://www.dalseong.daegu.kr/culture/index.do https://www.cha.go.kr/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곽재우(郭再祐)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1618년(광해군10)에 ‘충현사’로 처음 세웠고 1674년(현종15)에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모습을 갖추었다. 1677년(숙종3)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예연’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5)에 폐쇄된 것을 1872년(고종9)에 경의당(景義堂)을 건립하였고, 다시 한국전쟁으로 완전히 소실된 것을 1977년 강당·삼문(三門)을 복원하고 1984년 사당을 복원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때 곽재우와 곽준의 신도비(神道.. 2022. 7. 15.
대구 달성군 - 인흥마을 인흥마을 남평문씨의 중시조로 알려진 삼우당(三憂堂) 문익점(文益漸)의 후손이 대구에 입향한 것은 대체로 500년 전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곳 인흥에 자리를 잡은 것은 그의 18세손인 인산재(仁山齋) 문경호(文敬鎬, 1812~1874) 때이다. 그는 문씨만의 마을을 만들 것을 계획하고 원래 고려의 대찰(大刹)인 인흥사가 있었던 자리에 터를 잡아 오늘의 인흥마을을 새로 열었다고 한다.세거지에 최초로 건립한 건물은 1820년을 전후해서 지은 재실 용호재(龍湖齋)로 현재 광거당이 있는 곳이다. 저택이 들어선 것은 1800년대 후반으로 처음에는 초가로 시작했으나 그후 100년에 걸쳐 지금의 세거지가 형성되었다. 현재 70여채의 기와집이 한울 안에 정연히 들어서 있는 이마을은 건축연대가 200년 미만이지만 전통적.. 2022. 7. 15.
대구 남구 - 법장사(대구) 법장사(대구) * 고즈넉한 산사의 모습 그대로, 법장사 * ‘앞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대덕산은 대구시내를 바라보며 법장사를 비롯해 임휴사, 안일사, 은적사 등 유구한 전통을 지닌 사찰들이 산재해 있다. 그 중 법장사는 고산골이라는 깊은 수림 속에서 멋드러진 신라 3층 석탑과 함께 명맥을 계승하고 있다. 법장사는 대구 남구의앞산공원에 자리하고 있으며 절의 규모는 작은 암자와 같은 소규모의 가람이다. 그러나 대구광역시 문화재 자료인 법장사 3층 석탑과 고풍스러운 축대를 간직하고 공원 내에서 시민들과 함께 숨쉬고 있는 법장사는 포교의 최일선에서 매진하거나 커다란 불사에 진력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곳은 스님이 수행하고 있는 절”일 뿐이라는 사찰 본연의 모습을 간직하는 듯한 모습으로 공원을 .. 2022. 7. 15.
대구 동구 - 구암팜스테이마을 구암팜스테이마을 - 홈페이지 : http://www.gooam.com * 전원주택형 체험 마을, 구암마을 * 대구시 구암마을은 도시와 인접해 찾기 쉬울 뿐 아니라 문화시설이 잘 갖춰진 전원주택형 마을이다. 아홉 개의 바위가 거북의 등을 닮았다 해서 구암이라 불리게 되었다. * 구암마을의 농산물 체취체험 * 팔공산 자락을 휘감아 도는 순환도로 변에 벚꽃이 만개할 때 즈음, 이 곳 농사 체험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각종 채소류의 씨뿌리기가 시작되고 무엇보다 사과나무 과실을 골라내는 적과가 시작돼 이를 체험할 수 있다.사과는 물론 포도, 복숭아, 밤 등의 과실이 풍부하고 콩 뽑기와 벼 베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사과나 밤 따기는 이미 인근 유치원생들이 즐겨 체험할 정도라 한다. 또, 팜스테이 활성화를 위해 농.. 2022. 7. 15.
대구 동구 - 망우당공원 망우당공원 - 홈페이지 : http://www.dong.daegu.kr * 곽재우 장군을 기리는 공원, 망우당공원 * 대구의 동쪽 관문에 자리 잡은 공원으로,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망우당 곽재우 장군의 공을 기념하기 위해 "망우당공원"이라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곽재우 장군은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으며 신출귀몰한 전략을 펴 큰 공을 세웠다. 당시 장군은 붉은 복장에 백마를 탄 모습으로 전장에 나타나곤 해서 홍의장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공원 내에는 말을 타고 장검을 찬 곽재우 장군의 동상이 세워져 있으며, 동상 가까이에 망우당 기념관을 지어 장군의 유품을 보관해 두고 있다. 망우당공원에 들어서면 하얀 성벽 위로 번듯한 누각 하나가 맨 먼저 눈에 띈다. 영남제일관이다. 영남제일관은 조선시대에 축조.. 2022. 7. 15.
대구 동구 -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도동 측백나무 숲은 해방 이후 1962년 12월 7일 대한민국 천연기념물로 재지정 되었다. 측백나무는 단양, 울진, 안동 등에 분포하고 있으나 도동 측백나무 숲은 측백나무의 남방 한계선인 대구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점, 불로천 하식애 면에서 자생하는 점 등에서 식물지리학 및 생태학적으로 가치를 높이 평가 받고 있다. 현재 도동 측백나무 숲은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출입 제한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동 측백나무 숲의 특성을 살려 2016년 국토부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천연기념물 ONE 도동문화마을 조성사업'이 선정되어 사업의 일환으로 측백향 커뮤니티센터를 조성하여 1층은 로컬푸드 판매장과 마을 회의실, 2층은 측백향 카.. 2022. 7.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