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4185

광주 북구 - 산동교친수공원 산동교친수공원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 푸른 마을 옆에 있는 산동교 친수공원은 광주의 관문에 해당하는 곳으로, 구 산동교 주변 매립 폐기물 처리 후 고수부지 내 주민들의 여가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했다. 310,000㎡ 부지에 4.6km에 이르는 자전거도로와 유채꽃 단지, 코스모스길, 억새군락지, 체력단련장, 게이트볼장, 관목원, 자전거 교육장, 휴게 시설로 구성돼 있다. 취사 및 야영은 금지하고 있다. 이곳은 봄이면 유채꽃이, 가을이면 코스모스와 억새가 시민들을 유혹하고 여름에는 푸르른 잔디밭이 쉴 공간을 넉넉히 제공해준다. 또한, 쭉 뻗은 영산강 자전거길이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자전거와 킥보드 대여점도 있다. 가족끼리 오손도손 모여 앉아 정성껏 준비해 온 음식을 먹고 자전거를 타거나 체력.. 2022. 8. 31.
광주 광산구 - 경암근린공원 경암근린공원도심 속에서 숲을 접하고 자연 속에서 힐링할 수 있는 경암근린공원은 광주 광산구 하남동에 자리 잡고 있다. 다양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장과 함께 광장, 어린이 놀이터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잘 정돈된 산책로와 휴게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아숲체험원이 조성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자연 속에서 다양한 놀이와 함께 자연을 직접 체험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좋아할 만한 조형물 및 다양한 체험시설을 갖추고 있어 어린이와 함께 나들이하기에 좋다. 그뿐만 아니라 보행 약자를 위한 무장애 나눔 길이 설치되어 있어 거동이 불편한 보행 약자들도 쉽고 편하게 숲을 체험하고 안전하게 산책할 수 있다. -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대로54번안길 133 (하남동)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2022. 8. 31.
서울 종로구 - 광장시장 한복문화 체험관 광장시장 한복문화 체험관 - 홈페이지 : http://www.kwangjangmarket.co.kr/ http://kjhanbok.com/ 120년 전통의 광장시장 내 한복문화체험관 2019년 11월6일 개관 하였다. 광장시장 2층에서 한복문화체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복을 입고 시장 주변을 돌아다니며 관광 할 수 있다. 체험관 내부에는 한복관련 악세사리도 판매하고 있다.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88 광장시장 2층 특관 450호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2-2261-4112 - 이용시간 09:00~18:00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 2022. 8. 31.
서울 영등포구 - 영등포 신길동 홍어거리 영등포 신길동 홍어거리 애호가와 극단적으로 싫어하는 부류 등 싫고 좋음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음식 중 대표적인 게 바로 &apos홍어요리&apos다. 영등포 신길동에 그 홍어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들이 모여 거리를 이룬 곳이 있다. 우신초등학교 사거리 부근 신길4동에 1990년대 초반 첫 홍어요리집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지금도 그렇지만 홍어요리 음식점은 쉽게 찾을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영등포 신길동에 홍어 음식점이 하나둘씩 생기자 주변 애호가들의 발걸음이 점차 늘어갔다. 홍어회, 홍어무침, 홍어찜, 애탕 등 홍어 애호가라면 어느 것 하나 맛 보지 않을 수 없는 요리들이 단골을 만들기 시작했다. 당시 주변에는 중국집, 일반 식당 등 다른 업종 또는 홍어와는 전혀 다른 메뉴를 내걸고 장사를 하는 집이 있었.. 2022. 8. 31.
서울 마포구 - 아현동 전골목 아현동 전골목 천막이 서고 장이 열리면서 장터 사람과 시장 구경을 나온 사람들의 허기진 배와 타는 목을 축여주던 곳이 바로 천막집이었다. 지금은 슈퍼마켓이나 대형마트 등으로 장이 서나 안 서나 물건을 손쉽게 살 수 있지만 그래도 지방 재래시장은 5일장 날이면 보통 때보다 2~3배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니 아직도 5일장은 살아 있는 셈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도 그런 재래시장이 많지는 않으나 곳곳에 남아있어 옛 5일장의 추억을 되짚어 볼 수 있다. 또 5일장에서 빠지지 않던 전과 막걸리 천막집이 재래시장 골목 한켠을 차지하고 있으니 생활사의 근간을 이루는 옛 사람들의 모습을 그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겠다. 아현동 전골목은 시장 역사에 비해 그다지 오래되지는 않았고 현재 문을 열고 있는 5곳 중 1990.. 2022. 8. 31.
서울 마포구 - 공덕동 족발 골목 공덕동 족발 골목 시장 골목 한쪽에서 시작한 족발집이 골목을 이루고 시장 상권보다 오히려 더 활발하게 손님을 모으고 있는 곳이 있다. 그 곳이 바로 공덕동 시장 족발골목이다. 시장 한쪽에 2평(7㎡)짜리 식당이 족발골목의 뿌리였다. 당시 시장 사람들의 식사를 위해 순대국을 끓였고 팍팍한 생활을 달랠 술안주로 족발을 만들어 냈다. 순대국과 족발은 그렇게 시장 사람들을 속과 마음을 달래주면서 점차 식당이 잘 되자 부근 가방 가게를 하던 곳에서 업종을 변경해 순대와 족발을 팔기 시작했다. 이렇게 주변에 족발집이 늘어나면서 어느덧 이 골목이 족발 골목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세월이 흐르며 단골도 시장 사람들에서 학생과 주변 직장인들로 늘어갔다. 이 골목 손님들은 낮에는 나이 드신 분들이 많고 저녁에는 젊은 .. 2022. 8.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