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힐링 추천 코스

[경기 화성시][힐링 추천 코스] 동심에 젖는 봄

by 어느 개발자의 블로그 2021. 11. 30.
반응형

동심에 젖는 봄

2000년 3월 21일 국가지정문화재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999년 4월 25일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일대에서 시화호 간척지의 육지화에 따른 생태계와 지질 변화에 관한 기초조사를 벌이던 중 시화호 남쪽 간척지에서 발견되었다.
※ 소개 정보
- 코스 총거리 : 57.04km


 




시화공룡알화석지

- 홈페이지 : http://dinopia.hscity.go.kr
https://tour.hscity.go.kr
2000년 3월 21일 국가지정문화재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999년 4월 25일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일대에서 시화호 간척지의 육지화에 따른 생태계와 지질 변화에 관한 기초조사를 벌이던 중 시화호 남쪽 간척지에서 발견되었다.바닷물이 막히기 전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이었던 이 지역은 중생대 백악기(1억년전으로 추정됨)에 형성된 퇴적층으로 공룡알은 시화호의 해수(海水)가 빠져 나가면서 육상에 노출된 섬의 표면이 풍화와 침식에 의해 깎여 나간 표면에 주로 노출되어 있었다.지금까지 조사된 12개 지점에서 둥지 30여개에서 200여개에 달하는 공룡알이 발견되었고, 현재 뻘로 덮여있는 부분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지면 더 많은 화석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공룡알 모양은 구형이며 검붉은 색을 띠고 있다. 공룡알 껍질의 표면을 보면 미세한 구멍이 있는데 이를 통해 태아는 이산화탄소, 산소, 수분을 교환한다. 공룡알에는 다른 알들에 비해 이러한 숨구멍이 훨씬 많은 것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는 현재보다 연평균 기온이 높았고 극지방에도 빙하가 없을 정도로 온난다습했기 때문에 산소를 많이 호흡하기 위해 알껍질에 많은 숨구멍을 발달시킨 결과이다.그러나 숨구멍이 많으면 호흡작용에는 크게 유리하지만 수분을 잃는 단점도 생긴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룡들은 땅속에 구덩이를 파고 알을 낳은 후 모래로 덮어 알의 수분 손실을 막았다.

한편 공룡알 화석의 윗부분은 거의 모두가 깨져있는데 이 중 껍질 파편이 공룡알 속의 아래 부분에 쌓여있는 것들은 부화되기 전 다른 동물에 의해 먹힌 것이고, 껍질 파편이 알 속에 나타나지 않은 것들은 부화되어 새끼 공룡이 떠난 것으로 보인다.또한 자갈들과 함께 껍질 파편들이 알 속에 나타난 것들은 갑작스런 퇴적물의 퇴적으로 둥지가 덮쳐져 부화되기 전에 깨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공룡알은 껍데기의 단면 형태로 보아 목과 꼬리가 긴 4발의 용각류와 오리주둥이공룡 등 조각류의 공룡알로 추정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공룡알 화석과 함께 줄기에 마디가 있는 늪지의 갈대 등 규화된 식물화석과 저서생물의 흔적화석들도 대량 발견되었다. 다양한 식물화석 등이 공룡알 화석과 함께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 공룡의 먹이와 산란지 환경을 복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화성의 공룡알 화석지는 공룡발자국 화석에만 의존하던 한국의 고생물학계가 한 차원 높은 공룡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한반도를 세계적인 공룡 화석지로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어 세계의 유수한 학자들이 이곳을 견학하기 위해 앞다투어 화성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우리꽃식물원

- 홈페이지 : https://botanic.hscity.go.kr/index.jsp
11만 제곱미터의 부지로 조성된 우리꽃식물원은 전시온실에 설악산, 지리산, 태백산, 한라산의 5대 명산을 표현한 석산이 있다. 1,600여종이 넘는 국내 자생식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우리꽃을 즐길 수 있는 생태학습장, 전시관, 소망나무(280년된 해송), 천년의 기다림(1천년 된 박달나무 뿌리) 등의 볼거리와 학생들을 위한 체험학습장, 은행나무 오솔길 및 소나무 숲의 쉼터가 조성되어 아름다운 우리 식물과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다.





홍승인고가

- 홈페이지 : http://tour.hscity.go.kr
http://www.cha.go.kr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등재되어 있는 이 가옥은 경기도 지방 부농의 전통적인 주거생활을 잘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며 형태는 ‘ㅁ’자형을 하고 있다. 안채는 ‘ㄱ’자 모양으로 중앙의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동쪽에 안방, 맞은편에 건넌방을 두고 안방 앞쪽에 부엌을 두었다. 부엌의 뒤쪽으로는 우물과 장독대 등이 있는 뒤꼍이 위치한다. 사랑채 역시 ‘ㄱ’자 형태로 중앙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방이 1칸씩 배치되어 있으며 툇마루 바깥쪽에 창호를 달아 방 앞쪽에서 보면 툇마루가 복도처럼 보인다. 한편 사랑채 앞에 있는 행랑채는 일자형(一字形)의 9칸 규모이며 중앙에 솟을 대문이 배치되어 있다. 홍승인 고가의 두드러진 특징은 긴 사랑채의 분합문과 옆면에 있는 정교한 띠살창, 협문 등으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건축연대를 확실히 알려주는 자료는 없으나 사랑채에 사용된 부재나 가구의 수법 등으로 미루어 19세기 말로 추정되며 안채는 그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